대한치과보철학회, 한국인 수명과 보철 치료의 연관성 국내 최초로 규명
틀니 등 보철 치료가 생존율 향상에 기여 

대한치과보철학회 김성균(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보철과) 차기 회장은 틀니의 날을 맞아 건강 수명을 늘리는 보철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대한치과보철학회 김성균(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보철과) 차기 회장은 틀니의 날을 맞아 건강 수명을 늘리는 보철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잔존 치아가 20개 미만이면 그렇지 않았을 때와 비교해 10년 생존율이 15%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또 틀니·크라운·임플란트 같은 치아 보철 치료가 생존율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건강 수명을 늘리기 위해 고령층 보철 치료 접근성 개선이 중요하다는 분석이다.

대한치과보철학회는 틀니의 날(7월 1일)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치아 상실과 보철 치료가 한국인 건강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연구결과를 국내 최초로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2007~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와 사망 원인 통계를 연계한 대규모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됐다. 대한치과보철학회 연구팀은 19세 이상 성인 총 5만1576명 중 만 60세 이상 고령자 1만4253명을 최종 연구 대상자로 추출해 잔존 치아 수 감소가 사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잔존 치아 수가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잔존 치아 수가 1개 감소할 때마다 사망 위험이 약 1.2% 증가했다. 치아를 4개 상실할 경우 약 5%, 8개 상실할 경우 약 10%로 사망 위험이 증가하는 셈이다. 대상자를 세분화해 잔존 치아 개수에 따라 그룹을 나눈 뒤 10년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치아 28개가 전부 남아있는 경우에 비해 치아를 상살한 그룹에서는 10년 생존율이 감소한 것이 확인됐다.

잔존 치아의 개수가 적을수록 생존율 역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사람은 사랑니를 제외하고 보통 28개의 자연치를 가지고 있다. 치아 상실의 가장 큰 원인은 충치(치아 우식), 치주 질환(잇몸병)이다. 특히 고령층은 치주 질환으로 치아 상실이 주로 발생한다. 대한치과보철학회 김성균(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보철과) 차기 회장은 “고령층 치아상실군의 50%는 저작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큰 어금니를 상실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잔존 치아가 20개 미만일 때 사망 위험이 급격히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잔존 치아가 20개 이상인 경우와 비교해 20개 미만인 경우에는 10년 생존율이 약 14.9% 낮았고, 15년 생존율은 무려 21.5%까지 감소했다. 잔존 치아 수 20개가 단순한 수치가 아닌 생존율에 의미 있는 분기점으로 작용한다. 연구팀은 구강 건강이 전신 건강과 생명에 직결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라고 해석했다. 실제로 구강 건강은 활동적 노년의 필수 요소다. 사고나 충치, 치추 질환으로 부득이하게 치아를 잃으면 저작력이 감소해 영양 상태가 나빠지고 전신 노쇠로 이어질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활동적 노년을 평가하는 요소로 시력, 청력, 저작력을 꼽았다.

다만 치아를 상실했더라도 틀니, 크라운, 브릿지, 임플란트 등 보철 치료를 받으면 생존율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잔존 치아가 20개 미만일 때 사망 위험이 급격히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잔존 치아가 0에서 20개까지 남아있는 대상자 가운데 보철 치료를 받지 않은 그룹과 받은 그룹을 비교한 결과 보철 치료를 받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사망 위험도가 15.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잔존치아가 적더라도 고정성 보철, 부분 틀니, 완전 틀니 등으로 보철 치료를 받으면 사망 위험도가 떨어진다. 김 차기 회장은 “보철 치료가 고령자 생존율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것을 입증했다”며 “치아 상실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 적극적인 치과 치료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치과보철학회는 올해 틀니의 날 제정 10주년을 맞아 치과검진 이동버스 운영, 치과 명의와 함께하는 구강 관리, 올바른 틀니 관리법 등 구강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저작권자 © 헬스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