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100대 궁금증] 자궁근종 치료 팩트체크

자궁근종은 가임기 여성의 절반 가까이에서 발견될 만큼 흔한 질환입니다. 일부는 증상이 없어 조용히 지나가기도 하고, 폐경이 다가오면 자연스럽게 사라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만큼 오해도 많습니다. '암으로 진행할까?', '무조건 수술해야 하나?', '임신에 영향을 줄까?' 와 같은 우려가 큽니다.
자궁근종은 자궁의 근육층에서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생깁니다. 하지만 모든 자궁근종이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전체의 약 30%에 불과합니다. 증상이 없고 크기가 작거나 성장 속도가 느린 근종은 정기적인 초음파 검진으로 경과를 관찰하면 됩니다.
자궁근종의 치료는 증상, 크기, 위치, 환자의 연령과 임신 계획을 고려해 결정됩니다. 약물치료, 비수술적 치료(자궁동맥색전술), 수술적 치료(근종절제술, 자궁절제술)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수술은 근종의 크기가 크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 고려됩니다.
자궁근종이 암으로 진행할 확률은 매우 낮습니다. 일반적으로 0.8% 이하로 보고되는데요, 대부분의 자궁근종은 양성입니다. 다만 폐경 후 갑자기 근종이 커지거나 모양이 비정형적인 경우 악성 가능성을 고려해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자궁근종이 있는 여성의 약 3%에서는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근종이 자궁 내막에 가까이 위치하거나 자궁강을 변형시키는 경우 임신에 영향을 줄 위험이 있습니다. 근종절제술을 통해 근종을 제거하고 자궁을 복원하는 것이 임신에 도움이 됩니다.
폐경이 되면 여성호르몬의 감소로 인해 자궁근종의 크기가 줄어들고 증상이 완화됩니다. 폐경 후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다면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경과를 관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자궁이 남아 있는 경우 자궁근종은 재발할 수 있습니다. 치료 후 5년 이내에 약 50%에서 재발이 보고되며, 이 중 30% 정도만 치료가 필요합니다. 재발을 지나치게 걱정하기보다는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를 통해 경과를 관찰하고 필요하면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궁근종은 특별한 예방법이 없습니다. 비만한 여성에서 발병 위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건강한 식습관과 꾸준한 운동을 통해 체중을 관리하는 것이 도움됩니다. 1년에 한 번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면 됩니다.
-가임기 여성의 40~50%가 경험
-주 증상은 생리량 증가, 생리통, 골반통
-약 3%만 불임과 연관
-크기 작고 증상 없으면 경과 관찰
-폐경이 가까우면 자연히 줄어
이민영 기자 lee.minyoung@joongang.co.kr
- 산모·태아 생명 노리는 임신중독증, 체중 급격히 늘고 두통 심하면 의심
- 적응증 벗어난 자궁경부봉합술, 조산 위험 최대 17.9배
- 얼린 난자 보관 언제까지? 난자 냉동 A to Z
- “환자 중심의 혁신으로 건선 등 중증·희귀 질환 치료 환경 바꿀 것”
- 과식·음주 후 마른 기침에 쉰 목소리, 위산 역류가 보내는 경고
- 부모님 식탁에 활기 채우려면, 레몬즙·식초로 입맛 돋우고 계란찜엔 두유를
- 햇빛에 피부 간질간질, 여름에도 긴소매 입고 자외선 차단 철저히
- 원래 생리통 심하고 월경량 많나요? 자궁 질환 신호입니다
- 난임 여성 10명 중 2~4명은 이 질환, 월경통 방치하면 심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