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주 질환에 대처하는 올바른 방법
치아를 지탱하고 보호하는 잇몸과 뼈를 치주라고 한다. 이 치주 조직에 염증이 생긴 것이 잇몸병이라고 부르는 치주 질환이다. 구강 내 세균은 혈관으로 침투해 온몸을 돌아다니며 전신 질환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선치과병원 치주과 권혜인 전문의의 도움말로 치주 질환의 위험성과 올바른 대처 방법을 짚어 봤다.

치주 질환은 치은염과 치주염으로 구분한다. 건강한 잇몸 위에 치석이 쌓이면 치은염이 되고, 치석이 잇몸 뼛속까지 쌓이면 치주염으로 악화한다. 치은염은 비교적 가벼운 질환이라 스케일링만 해주면 다시 건강한 잇몸으로 돌아갈 수 있다. 그러나 염증성 질환인 치주염은 잇몸뼈를 녹이고 치아를 흔들리게 한다. 치주염에는 통증 등 뚜렷한 전조 증상이 없는데, 이게 바로 치주염이 무서운 이유다. 입 안 전체적으로 치주염이 악화해 동시다발적으로 치아를 상실하는 사례가 많다.
치주 질환의 원인은 세균인데, 정확히는 치태와 치석이다. 치태는 치아 표면의 얇은 세균막으로, 칫솔질만 잘하면 제거할 수 있다. 치태가 오래 머물면 무기질과 침착돼 딱딱한 돌처럼 굳어 치석이 된다. 치석은 스케일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세균 외에도 당뇨, 노화, 유전, 흡연 등 여러 요인이 더해져 치주 질환이 악화하고 치아 상실 가능성을 높인다.
치주 질환은 전신 질환과의 연관성이 두드러진다. 가장 위험한 건 당뇨와 임산부의 조산, 저체중 출산 위험이다. 고령의 당뇨 환자가 많은데, 치주 질환과 상호 연관이 깊다. 임산부의 잇몸 건강도 중요하다. 임신 중에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분비가 증가하고, 구강 내 세균이 증식함에 따라 치석이 잘 생기기 쉽다. 특히 임신 중엔 호르몬 변화가 심해 잇몸 염증을 방치하면 조산 위험이 커지고, 임신부가 통증을 참는 일이 태아에게 심각한 스트레스로 작용한다.
당뇨병 환자, 임산부 특히 조심해야
대부분의 환자는 잇몸이 붓거나 고름이 차서 치과를 찾는다. 이땐 응급 치료부터 시행한다. 고름을 짜고 항생제를 처방하며 스케일링을 한다. 그 뒤에 초기 치료 단계로 들어간다. 잇몸 상태가 안 좋으면 비외과적 치료인 ‘치주소파술’을 통해 잇몸 속의 치석과 세균을 긁어낸다. 치주소파술 단계부턴 마취도 병행한다. 초기 치료 4~6주 후엔 재평가해 더 필요한 경우 외과적인 치주 수술을 진행한다. 더 깊은 곳의 잇몸을 열어서 치석을 제거하는 잇몸 수술이다. 마지막으로 잇몸 상태가 괜찮아지면 유지·관리 치료로 들어간다. 정기적인 스케일링을 시작하는 것이다.
치주 질환은 만성질환이며 완치가 없고 재발률이 높다. 그래서 예방, 특히 양치질이 가장 중요하다. 스스로는 칫솔질을 열심히 하는 것 같아도 실제로는 제대로 닦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치아에는 다섯 면이 있다. 옆면, 뒷면, 씹는 면, 안쪽, 바깥면이다. 바깥면만 열심히 닦아서 다른 곳에만 치석이 쌓인 환자도 많다. 오른손잡이 환자는 왼쪽 치아 양치가 잘 안 되는 경우가 있어 왼쪽부터 칫솔질을 시작하는 것도 도움된다. 양치 한 번에 제대로 닦을 자신이 없다면, 자기 전 양치를 두 번 연달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양치할 때 치실을 꼭 함께 사용하자. 양치질은 기본적으로 정성이다. 얼마나 오래, 얼마나 여러 번, 얼마나 공들여 닦는가가 중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