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에 얼음찜질, 샤워로 피부 온도 낮춰야

여름엔 햇빛과 땀, 고온다습한 날씨 때문에 피부가 민감해진다. 특히 일광화상은 이차적인 피부 질환을 야기할 수 있어 제대로 관리해야 한다.
일광화상은 햇볕 노출에 대한 정상 반응이다. 햇볕을 받은 부위는 처음엔 붉어지고 따끔거리거나 화끈거리며, 심한 경우 통증·물집이 생기기도 한다. 두통, 오한, 발열, 오심, 빈맥 등의 전신 증상과 쇼크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일광화상을 반복해서 입으면 피부가 노화하고 주근깨, 기미, 색소침착 등의 색소성 병변이 발생하며 추후 피부암 발생 위험이 커진다.
일광화상으로 피부에 허물이 일어났을 때 일부러 벗겨내면 추가적인 손상과 흉터를 남길 수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벗겨지도록 놔두는 것이 좋다. 또 피부 병변에 물집이 생겼다면 이차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담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대전을지대병원 피부과 이중선 교수는 “뜨거운 햇볕 때문에 일광화상이 생기면 통증을 동반할 수 있고 초기에 얼음찜질, 샤워로 피부 온도를 떨어뜨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칼라민로션, 스테로이드 연고를 사용할 수 있는데, 증상이 심한 경우 전문의를 찾아 진료를 받을 필요가 있다. 몸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물을 충분히 마시고 피부 장벽의 회복을 돕고자 보습제를 도포하는 것도 좋다. 차가운 오이를 이용한 마사지는 모공을 수축해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는 수렴 작용과 보습 작용을 해주므로 좋은 관리 방법이다. 또 세안 후 바르는 화장수를 냉장 보관했다가 화장 솜에 묻힌 후 피부에 잠시 덮어두는 것도 도움된다.
※자외선차단제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
①외출 15~30분 전에 미리 바른다.
②일상 외출 땐 SPF 30 이상, PA++ 이상 제품을 바른다.
③해변·골프장에선 SPF 50, PA+++ 이상 제품을 바른다.
④땀을 많이 흘렸을 땐 덧바른다.
⑤얼굴 기준 100원 동전 크기의 양을 고루 펴 바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