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의 주요 증상과 단계별 치료법
‘디스크’라는 이름으로 익숙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은 직장인, 주부, 노인 등 연령과 직업을 가리지 않고 나타나는 대표적인 척추 질환이다. 오래 앉아 있는 생활습관,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드는 일상, 잘못된 자세를 지속하면 추간판(디스크)에 무리가 가면서 내부의 수핵이 밖으로 탈출하고, 주변 신경을 눌러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대전선병원 척추센터 김재훈 전문의의 도움말로 디스크의 증상과 치료법을 알아봤다.
허리 통증은 가장 흔한 초기 증상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까지 이어지는 방사통과 저림, 감각 저하, 근력 약화가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이 심해지면 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걷기 어려운 상태까지 진행되며, 드물게 대소변 조절 장애 같은 응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신경이 심하게 압박받고 있다는 경고 신호일 수 있다.
디스크 진단을 받았다고 해서 반드시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통증의 정도가 경미하고, 하지의 감각과 근력에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약물치료와 물리 치료 등 보존적인 치료만으로도 많은 환자가 호전된다. 소염진통제, 근이완제, 신경병성 통증 조절 약물 등을 사용하고 물리 치료나 자세 교정, 허리 안정화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초기 치료법이다.
보존적인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 신경차단술, 신경성형술과 같은 중재적 시술을 고려할 수 있다. 신경차단술은 염증이 있는 신경 주위에 약물을 주입해 통증을 줄이는 시술이다. 신경성형술은 특수한 관(카테터)을 삽입해 유착을 풀고 염증을 완화하는 시술로, 반복적인 통증이나 수술 후 통증 조절에 효과가 있다.

반드시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근력 약화가 진행 중인 경우 ▶대소변 장애 같은 마미증후군 의심 소견이 있는 경우 ▶보존적인 치료나 시술에 반응이 없는 심한 통증이 있는 경우다. 이때 수술은 통증을 줄이기 위한 선택이 아니라 신경 기능의 영구적인 손상을 막기 위한 필수적인 치료로 봐야 한다.
최근 가장 주목받는 치료법의 하나는 척추 내시경 수술이다. 피부를 1㎝ 이내로 작게 절개한 뒤 특수 내시경 장비를 이용해 탈출한 디스크만 정밀하게 제거하는 방식이다. 근육과 인대를 광범위하게 절개하지 않기 때문에 출혈이 적고, 회복이 빠르며, 흉터도 거의 남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신경 주변 구조를 확대된 시야로 직접 확인하면서 병소를 제거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조직 손상이 없고 통증 원인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정밀성이 뛰어나다.
수술이 끝났다고 치료가 끝난 게 아니다. 재활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같은 부위 또는 다른 부위에 재발할 우려가 높다. 허리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코어 운동, 자세 교정, 스트레칭을 통해 척추를 안정화하고, 바른 자세와 생활습관을 통해 구조적인 부담을 줄인다. 예방은 일상 속 실천에서 시작된다. 무거운 물건을 들 땐 무릎을 굽혀 허리에 부담을 줄이고,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한 시간마다 가볍게 일어나 몸을 풀어주는 습관이 중요하다.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과 근력 강화 운동도 디스크 예방에 도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