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 감염이 원인일 땐 고열과 심한 통증 발생

고관절염은 엉덩이 관절인 고관절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노화나 외상뿐만 아니라 류마티스성·세균성·통풍성 등이 원인이 돼 발생한다. 

대표적인 증상은 고관절이 위치한 사타구니 부위의 통증이다. 걸을 때나 앉았다 일어날 때 증상이 심해지며 고관절의 운동 범위가 제한돼 완전히 다리가 펴지지 않기도 한다. 정형외과 전문의인 대동병원 관절센터 서진혁 과장은 “고관절 인접 부위인 아랫배나 팬티라인 부위에서도 불편감이 발생할 수 있다”며 “세균 감염에 의한 염증일 땐 고열과 함께 움직이지 못할 정도의 심한 통증이 야기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진단 과정에서는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과 걸음걸이, 고관절 운동 범위 등을 확인한다. X선 검사로 고관절 상태를 살피고 필요에 따라 혈액검사, 초음파검사, 자기공명영상(MRI) 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고관절염으로 진단되면 약물과 물리치료가 이뤄진다. 고관절염이 발생했으나 관절 손상이 적다면 퇴행성 변화를 지연하기 위해 골반골이나 대퇴골을 맞추는 절골술을 시행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있다면 인공관절 수술을 고려할 수도 있다. 

고관절염 예방법도 알아두면 좋다. 고관절을 포함한 주요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적정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 또 평상시 수영, 걷기, 실내자전거 등 관절에 부담이 적은 운동을 통해 근육을 강화하는 게 바람직하다. 경직된 근육을 풀고 관절 가동 범위를 넓히기 위한 스트레칭도 도움된다. 무리한 운동 등 관절에 부담을 준 날에는 적절한 휴식과 회복 시간을 갖는다.

하지수 기자 ha.jisu@joongang.co.kr 

저작권자 © 헬스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