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는 동안 어깨 근육에 부담 가고 등·허리 근육 뭉쳐

오십견, 석회성건염 등 어깨 질환 환자의 공통점은 뭘까. 바로 ‘야간 통증’이다. 실제로 어깨 관절 질환자는 야간 통증 때문에 수면장애를 경험한다. 바른 자세로 누워도 통증이 발생해 어깨 아래 수건을 괴어 관절에 부담을 줄여주면서 취침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어깨 통증을 느끼는 이들은 만세 자세까지 팔이 올라가지 않거나 올라가도 심한 통증을 호소한다.
반대로 만세 자세가 편한 사람이 있다. 수원나누리병원 관절센터 임현규 과장은 “만세 자세는 팔을 들어 올릴 때 어깨가 같이 들리면서 목과 어깨 사이 근육이 짧아지기 때문에 불편한 자세인데, 취침 시 만세 자세가 편하다고 느낀다면 근골격계 질환의 초기 신호로 의심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만세 자세로 취침하면 자는 동안 어깨 근육이 계속 부담을 받고, 등과 허리 근육까지 뭉친다. 쇄골 아래쪽으로 큰 혈관과 신경(쇄골하신경, 쇄골하 동맥 등)이 지나가는데 근육에 눌려 저린감을 느낄 수도 있다. 어깨뼈와 팔을 들어 올리는 경우 회전근개와 뼈가 충돌할 수 있고, 충돌이 계속되면 힘줄에도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임 과장은 “어깨충돌증후군은 팔을 들 때 어깨 안쪽의 공간이 좁아지며 어깨 관절의 뼈와 근육, 힘줄이 부딪히면서 힘줄이 반복적으로 압박을 받아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방치하면 염증이 심해져 회전근개 파열 등 심각한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초기 단계에서 적절한 관리가 이뤄질 경우 수술 없이도 증상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주사 치료를 통해 염증 부위를 직접 치료하거나 물리 치료로 어깨 관절의 가동 범위를 늘려주는 비수술적 치료로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심한 경우라면 수술적 치료가 불가피하다.
이땐 ‘어깨 관절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가 가능하다. 통증 부위에 내시경 카메라를 넣어 고해상도 모니터로 내부를 직접 확인해 진단하고 치료한다. 어깨충돌증후군의 경우 좁아진 견봉 뼈 근육의 공간을 넓히는 것을 목표로 시행한다. 관절 내시경 치료는 최소 절개로 이뤄지기 때문에 다양한 연령대와 만성질환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회복 기간도 빠르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관절 치료에 많이 쓰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