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 등으로 대동맥판막 석회화 진행해 발생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심장의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의 대동맥판막이 석회화돼 잘 열리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심장이 수축할 때 대동맥판막이 제대로 열리지 않으면 대동맥의 혈류가 원활하지 못해 흉통과 실신,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자칫 돌연사할 위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박유경 교수에 따르면,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주요 원인은 노화다. 선천적인 구조 이상이나 어릴 때 류마티스열을 앓고 난 뒤 합병증으로 대동맥판막협착증을 앓기도 한다. 병원을 찾으면 심장 초음파 검사로 협착 유무와 중증도를 판단해 진단을 내리게 된다. 경증은 약물치료를 먼저 시행하고 중증일 경우에는 시술 또는 수술을 권장한다.  

대동맥판막 치환술은 대표적인 수술법의 하나다. 손상된 대동맥판막을 제거하고 금속 재질의 인공 판막 혹은 돼지나 소의 심장 조직을 특수 처리해 만든 조직 판막으로 치환하는 방법이다. 이 과정에서 봉합하는 실을 사용하지 않거나 덜 사용하는 비봉합 대동맥판막 치환술 등도 활용된다.

박 교수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면서 국내에서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동맥판막협착증이 무서운 이유는 초·중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 협착 정도가 심해지면 갑작스럽게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라며 “가슴 통증이 있거나 숨이 차는 고령층이라면 증상을 가볍게 넘기지 말고 제때 정확한 검사와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수 기자 ha.jisu@joongang.co.kr   

 

저작권자 © 헬스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