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족한 호르몬 보충하는 올바른 약물 복용 중요
갑상샘은 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전신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내분비기관이다. 갑상샘 기능이 저하하면 갑상샘 호르몬이 부족해지면서 피로, 부종, 변비, 탈모 등 다양한 전신 증상이 나타난다. 추위를 잘 타거나 체중이 늘고 목소리가 변하기도 한다. 일부에서는 갑상샘 세포의 파괴로 일시적인 갑상샘 중독증이 선행할 수도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유현진 교수와 함께 갑상샘기능저하증에 대해 알아보자.
갑상샘기능저하증을 방치하면 고혈압, 심부전, 콜레스테롤 증가 등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우울증 및 인지 저하, 부종, 생리불순은 물론이고 심각한 경우 혼수 상태까지 진행될 수 있다. 여성은 불임으로 이어지거나 남성의 경우 성욕 감소와 발기부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피부 건조가 심해지고 탈모, 근육통, 쉰 목소리, 추위 민감증이 심해지는 등 외형적인 변화와 함께 삶의 질이 낮아진다.

갑상샘기능저하증은 여성과 중노년층에서 발병 빈도가 높다. 연령별 추세를 살펴보면 여성은 20대부터 점진적으로 발생이 증가해 60대에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남성은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늦게 유병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갑상샘기능저하증은 증상이 다양하고 모호해 뒤늦게 진단받기 쉽다. 20·30대는 학업·업무로, 60대는 노화·폐경 등 호르몬 변화로 피로감이 심하고 집중력·기억력이 떨어져도 이상 징후를 자각하지 못하고 지낸다.
갑상샘기능저하증은 채혈을 통해 갑상샘 호르몬 수치를 측정해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관련 항체 또한 채혈로 확인할 수 있어 갑상샘자가항체가 양성일 때 자가면역성 갑상샘염으로 진단할 수 있다. 때로 추가적인 방사선 스캔, 갑상샘초음파 시행이 진단에 도움되기도 한다.
치료는 부족한 갑상샘 호르몬을 약으로 보충하는 것이다. 치료 자체는 간단하지만 올바른 약물 복용이 중요하다. 갑상샘 호르몬제는 아침에 복용 후 최소 30분 이상 공복을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아침 복용을 놓쳤을 때는 저녁 식사 후 충분히 소화시킨 뒤 취침 전에 복용한다. 갑상샘기능저하증은 대부분 평생 호르몬제를 복용해야 하지만 발생 원인에 따라 일시적인 경우가 있고 상황에 따라 약의 용량을 서서히 조정해야 하는 예도 있다. 따라서 전문의 진료를 통해 올바른 진단과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 몸에 필요한 적절한 양의 갑상샘 호르몬제 용량이 결정되면 이후에는 병원에 내원하는 주기를 연 1~2회로 늘릴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약제, 동반 질환, 체중에 의해 호르몬제 필요량이 변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사와 진료가 지속해서 필요하다. 유 교수는 “갑상샘기증저하증은 정확히 진단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일상생활에 큰 지장 없이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며 적극적인 치료를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