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 10명 중 4명이 요실금을 겪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인제대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팀은 2023년 4월부터 12월까지 3개 병원에서 진료받은 임산부 824명을 분석한 결과, 40.2%(331명)에서 요실금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인 ‘대한산부인과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요실금 유형으론 운동·기침 등 신체 활동 중 자기도 모르게 소변이 새는 스트레스성 요실금이 77.1%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복합성 요실금(16.9%), 긴박성 요실금(6%) 순이다. 요실금 발생률은 이전의 분만 방법과 횟수의 영향을 받았다. 자연분만(질식분만)과 제왕절개를 동시에 경험한 여성이 85.7%로 가장 높았고 자연분만 여성은 62.7%, 제왕절개 여성은 39.7%, 미분만 임신 여성은 32.2%였다.
출산 횟수에 따른 요실금 발생률도 분석했더니, 2번 이상 분만한 여성의 53.6%, 1번 임신 여성의 52.1%, 미출산 여성의 33.2%에서 요실금이 나타났다. 요실금 발생 위험도는 분만 방법에 따라 크게 달라졌다. 요실금 발생 위험도가 제왕절개와 자연분만을 동시에 경험한 여성은 23배 이상, 질식분만 여성은 5배, 제왕절개 여성은 2배였다. 임신 시기에 따라선 임신 1기(임신 14주 이내) 19.3%, 임신 2기(임신 14~27주) 32.9%, 임신 3기(임신 28주 이후~출산) 54.2%로, 임신이 진행될수록 태아와 자궁이 커지면서 요실금 발생률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한정열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임산부의 요실금 유병률과 위험 요인을 밝혀낸 국내 첫 연구”라며 “임신 중 호르몬 변화와 함께 자연분만 하면 골반 근육과 골반 신경이 손상돼 괄약근과 방광 조절 기능이 약해져 요실금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요실금은 신체 활동, 사회적 관계, 정서적 안정 등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해 산후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임신 중에라도 요실금이 발생하면 조기에 적극적으로 치료·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