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인 60~70%가 겪는 당뇨발…최악 상황 피하려면

인쇄

여름철 당뇨발 관리법

당뇨병은 고혈당 자체에 의한 증상보다 합병증 위험이 더 큰 질환이다. 특히 당뇨병성 족부 질환(당뇨발)은 작은 상처가 궤양, 괴사로 악화하고 다리 절단까지 불러올 수 있다. 무더운 여름철엔 더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노출로 인한 외부 자극, 고온다습한 환경 탓에 세균 번식으로 악화할 수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경민규 교수와 함께 당뇨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당뇨병의 대표적인 합병증은 혈관 합병증이다. 높은 혈당으로 피가 물엿처럼 끈적해지면서 몸의 말초 조직까지 원활한 순환이 어려워 문제가 생긴다. 눈, 콩팥 등 작은 혈관부터 심장, 뇌 등 큰 혈관까지 인체 모든 혈관에서 나타날 수 있다. 이중 다리 동맥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면 발가락 끝이 까맣게 되거나 발의 가벼운 상처가 쉽게 낫지 않고 궤양이 생기는데, 이를 당뇨병성 족부 질환(이하 당뇨발)이라고 한다. 30~40대 젊은 환자는 당뇨발까지 생길 것으로 생각하지 못하지만 사실 많은 환자가 당뇨발 합병증으로 고통받는다. 실제 환자 중 60~70% 정도는 평생 한 번 이상 발 합병증을 경험한다.


작은 상처로 시작해 절단 위험까지
주 증상은 이상 감각, 궤양, 괴사다. 문제는 작은 상처가 쉽게 궤양으로 진행하고 심해지면 절단까지 갈 수 있다는 점이다. 당뇨발에서 상처가 빠르게 악화하는 것은 신경 합병증과 말초혈관 장애와 관련이 깊다. 당뇨병을 오래 앓으면 신경 손상으로 통증, 온도 변화에 둔감해져 상처가 나도 모른 채 방치하기 쉽다. 당뇨병은 말초혈관 장애도 자주 생기는데, 상처로의 혈액 공급이 감소하며 상처가 잘 낫지 않게 된다. 단순히 칼에 베이거나 뾰족한 것에 찔리거나, 심지어 발톱만 잘못 깎아도 그때 생긴 염증으로 인해 심하면 절단이 필요한 상황에까지 이를 수 있다.

치료 목표는 가능한 절단 수술을 피하는 것이다. 경민규 교수는 “당뇨발이 절단까지 가지 않게 하려면 평소 당뇨병과 합병증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중요하다”며 “혈액순환 상태, 혈당 조절, 신경통 등의 관리와 감염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정형외과는 물론이고 내과, 혈관외과, 영상의학과 등의 다학제적 치료가 필수”라고 말했다.

궤양 생겼다면 빠르게 병원 찾아야
환자 스스로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철저한 혈당 관리는 기본이다. 평소 발에 상처가 나지 않게 관리하고 상처가 생겼다면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상처가 심해져 궤양까지 진행됐다면 죽은 조직을 제거하는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 전에는 혈관 상태를 파악해 막힌 혈관이 있으면 혈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혈관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상처 치유 환경이 좋아지기 어려워 결국 상처가 악화해 썩어 들어가는 경우가 많아서다.

다리 절단은 최후에 고려한다. 절단을 하더라도 의족을 착용해 금방 잘 걸을 수 있을 것 같지만 현실은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실제로 발목 이상 부위에서 절단 수술까지 해야 하는 경우는 활동에 제약이 많은 침상 생활을 하는 환자들이 대부분이다. 이런 상황에서 절단까지 하게 되면 폐렴, 욕창 등 다른 합병증이 생기기 쉽고 결국 반대쪽 다리까지 잃게 될 확률이 높다. 결국 절단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평상시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기온이 높은 여름에는 더욱 주의한다. 더운 날씨 탓에 샌들, 슬리퍼 착용이 늘어 외부 자극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고 고온다습한 여름 환경으로 세균 번식이 활발해지면서 작은 상처도 염증으로 진행하기 쉬워서다. 발을 보호하기 위해 양말과 막힌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실내에서도 슬리퍼를 착용하는 것이 도움된다. 땀이 많이 날 수 있으므로 자주 씻고 씻은 후에는 발가락 사이사이까지 충분히 잘 말려야 한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