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 자료에 따르면 해당 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는 2022년 기준 177만7263명에 이른다. 척추관협착증은 50대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데, 전체 환자 중 60대 이상이 84.7%, 50대를 포함하면 무려 96.2%에 달한다.
척추관협착증은 신경이 눌리면서 통증과 저림을 유발한다. 허리를 펴고 오래 걷거나 서 있을 때 다리가 저리고 감각이 마비되며 터질 듯한 증상이 나타난다. 앉아서 휴식을 취하거나 가만히 누워있으면 증상이 사라지기 때문에 상태가 호전된 것으로 착각해 방치하기 쉽다.
증상 초기에는 운동을 제한하고 안정을 취하며 소염진통제, 근육 이완제 등의 약물치료와 물리 치료 같은 보존적인 치료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치료 시기를 놓치면 회복 속도가 늦어지거나 수술이 불가피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허리와 다리 통증이 2주 이상 계속된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척추관협착증 환자가 주의해야 할 건 신경마비가 생기고 대소변이 조절되지 않을 때다. 극심한 통증과 함께 이러한 마미증후군이 발생했다면 응급 상황으로 악화할 우려가 크다. 중증으로 진행할 경우 하반신 마비나 대소변 장애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바른세상병원 척추센터 박재현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척추 질환은 적기에 치료하면 대부분 수술 없이 통증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생활 속 바른 자세와 꾸준한 운동으로 관리한다면 재발을 막고 척추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을 참다가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증상이 악화한 후엔 치료 후에도 신경 마비 같은 후유증이 남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척추 질환은 치료 후에도 꾸준한 관리가 중요하다. 나쁜 자세와 비만, 운동 부족이 주요한 발생 원인이므로 개선되지 않으면 재발하거나 또 다른 부위에 척추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척추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꾸준한 허리 근력 강화 운동을 통해 유연성과 주변 인대, 근육을 강화시키는 것이 좋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