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 약해진 5060 여성, 척추관협착증 취약
허리를 지나가는 신경은 다리와 엉덩이로 이어져 있다. 퇴행성 변화로 신경 다발이 통과하는 척추관 면적이 좁아지면 신경이 눌리면서 다리가 저린 듯한 통증이 나타난다. 폐경 이후 호르몬 변화로 뼈와 관절이 약해지기 쉬운 50~60대 여성은 척추관협착증과 같은 척추 질환에 취약하다.
척추관협착증은 가만히 누워있으면 증상이 없고 서거나 걸으면 증상이 나타난다. 가장 큰 특징으로 걸을 때 다리 통증을 꼽는다. 통증 탓에 걸을 수 있는 거리가 줄어들면서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아 병원을 찾는 경우가 흔하다. 특히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펼 때 통증이 심해지고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통증이 완화하는 특징이 있어 허리디스크와 구별된다. 어르신이 길을 걷다 쪼그리고 앉아 쉬거나 유모차와 같은 보행기구에 의지해 걷는 것도 척추관협착증으로 인한 통증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척추관협착증 초기라면 운동을 제한하고 약물이나 물리 치료 등 보존적인 치료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신경이 눌렸다면 원인 물질을 제거하는 신경성형술을 시행한다. 다만 비수술 치료에도 통증 강도가 심해지거나 마비가 오는 경우, 대소변 장애가 발생하는 마미증후군이 동반된다면 수술 치료가 불가피하다.
수술 방법으로는 관절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신경이 압박되는 부분을 넓혀주는 감압 수술, 척추내시경술, 압박 부위가 광범위 하다면 나사로 척추 관절을 고정하는 척추 고정술 등이 있다. 고령의 척추관협착증 환자라면 수술은 더욱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복용 약이 있거나 만성질환자가 많으므로 환자 상태에 따라 전문의와 상의해 수술을 결정해야 한다. 정 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은 방치할수록 증상과 통증이 심해지고 신경이 눌린 상태가 오래 되면 신체에 마비 증상까지 초래할 수 있다. 허리나 다리 통증, 저림 증상이 2주 이상 지속한다면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현명하다”고 조언했다.
무릎 건강하려면 양반다리 자세 피해야
일반적으로 걷거나 서 있을 때 체중의 75~90%가 쏠리는 무릎은 관절염에 가장 취약한 부위다. 걸음걸이만 잘 살펴도 부모님 무릎이 건강한지 아닌지 알 수 있다. 퇴행성 관절염은 무릎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에 손상이 생겨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노년기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바른세상병원 관절센터 엄상현(정형외과 전문의) 원장은 “무릎 건강 상태는 걸음걸이를 통해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잠깐만 걸어도 쉬고 싶어 하거나 무릎 사이가 벌어졌을 때, 무릎 통증으로 절뚝거리며 걸을 때, 걸음걸이가 바르지 않을 땐 무릎 관절 손상을 의심해야 한다.
초기 퇴행성 관절염의 경우 약물치료, 주사 치료, 체중 조절 등 보존적인 치료로도 효과를 볼 수 있다.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 개선 효과가 없고 인공관절 수술을 하기엔 이른 중기 관절염 환자라면 자가골수줄기세포 주사 치료로 통증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연골 손상이 심한 말기 관절염으로 진행됐다면 인공관절 치환술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무릎 관절염은 생활 습관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예방 효과가 있다. 쪼그려 앉거나 양반다리로 앉는 자세는 가장 안 좋은 습관이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과체중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평소 새우나 콩, 아보카도, 강황 등 연골에 좋은 음식을 챙겨 먹는 것이 도움된다. 무릎 건강을 위해선 허벅지 근력 강화가 중요하다. 의자에 앉아 다리를 들고 버티거나 두 다리를 뻗어 올렸다 내렸다 하는 반복적인 동작을 통해서도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