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그렇다. 물론 렌즈 착용 시간이 길다면 함수율에 상관없이 어느 렌즈나 안구건조감이 느껴진다. 렌즈 착용시간을 줄여도 여전히 눈이 건조하다면 렌즈의 재질을 살펴보는 것이 좋다. 최근엔 함수율이 높으면서 눈물막 안정성 유지에 도움을 줘 안구건조감 증상 완화 효과를 입증한 워터그라디언트 재질로 만든 제품도 나왔다. 건조하기 쉬운 렌즈 표면으로 갈수록 함수율을 높여 촉촉한 착용감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렌즈 중심부의 함수율은 33%지만, 표면의 함수율은 80% 이상으로 디자인해 렌즈 착용감을 높이면서 안구건조감도 완화한다. 다만 어떤 렌즈든 착용했을 때 비정상적인 충혈, 이물감, 시야 흐릿함 등 현상이 나타난다면 렌즈 착용을 중단하고 전문가와 상담한다.
Check2. 렌즈를 착용할 때는 인공눈물을 자주 넣어주는 것이 좋다
(O) 인공눈물은 안구건조증을 관리하는 주요 제품이다. 수분을 빨아들이는 렌즈의 표면을 촉촉하게 만들어 착용감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각막 마모 및 상처 치료, 통증·염증 관리, 결·각막염 치료 등에도 인공눈물이 사용된다. 렌즈를 제거할 때도 사용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안구건조증 관리를 위해 하루 4회 투여를 권장한다. 렌즈 착용자는 렌즈 변형을 막기 위해 무방부제 인공눈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눈 상태에 따라 처방이 필요한 인공눈물을 투여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안과 전문의 진료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인공눈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Check3. 전자기기 사용시간이 길어질수록 안구건조증이 심해진다
(O) 렌즈 착용 자체로 안구건조증에 취약한 상태인데, 컴퓨터·스마트폰·태블릿PC 등 전자기기 화면을 오래 바라보면 눈 깜빡임 횟수가 줄면서 안구건조증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인 눈깜빡임은 1분에 15회지만 전자기기를 사용하면 눈 깜빡임 횟수가 5~7회로 줄어든다. 눈을 덜 깜빡이면서 눈물막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고 눈물이 빠르게 증발해 안구건조증이 더 심해진다. 디지털 기기를 사용할 땐 20분 간격으로 6m(20피트) 떨어진 곳을 20초 동안 바라보는 20-20-20 규칙을 실천하는 것이 좋다. 눈을 자연스럽게 깜빡이면서 휴식하는 시간을 갖는 것을 권한다.
Check4. 난시용 렌즈는 축 안정화 디자인으로 움직이지만 않으면 된다
(X) 축 안정화 만큼이나 촉촉한 렌즈 표면도 난시 교정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난시용 렌즈는 축 안정화 디자인으로 눈을 깜빡일 때 렌즈가 위아래좌우로 이동·회전하는 것을 차단해 안정적으로 난시를 교정한다. 만약 난시 축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회전하면 시력 교정에 문제가 생기고 시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런데 렌즈의 촉촉한 표면도 축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특히 최근 출시된 워터 표면 렌즈 재질로 만들어진 콘택트렌즈는 눈꺼풀과 렌즈 표면의 불필요한 마찰을 줄여 눈이 깜빡일 때마다 렌즈의 회전·이동을 최소화한다. 촉촉한 렌즈 표면으로 눈물막 안정성 유지에도 긍정적이다.
Check5. 렌즈마다 적합한 전용 세정액이 따로 있다
(O) 렌즈는 재질에 따라 관리용액의 세정력이 달라질 수 있다. 산소 투과성이 개선된 실리콘 하이드로겔 소재로 만들어진 소프트 렌즈는 매일 전용 제품으로 세척·보관해야 한다. 특히 렌즈를 헹굴 때 식염수나 수돗물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렌즈의 세척·보관이 부적절하면 렌즈에 단백질 등이 쌓여 투명했던 표면이 뿌옇게 변하고, 착용했을 때 이물감이 느껴진다. 안구건조증도 심해질 수 있다. 렌즈를 보관할 때 다목적 렌즈 관리용액을 사용한다면 최소 4시간 이상 렌즈 케이스에 보관해야 한다. 렌즈 케이스 역시 주기적으로 세척하고 최소 3개월마다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