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세 이상 성인 6명 중 1명은 당뇨병 환자다. 흔한 질환이나 여전히 당뇨병에 대한 인식은 부족하다. 특별한 증상이 드러나지 않아 뇌졸중·심근경색 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까지 모르고 생활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인천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조윤정 교수가 짚어주는 당뇨병에 관한 정보 4가지를 알아본다.
당뇨병은 크게 인슐린 분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제1형 당뇨병, 인슐린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제2형 당뇨병으로 구분한다. 대부분 제2형 당뇨병으로 무절제한 식사와 운동 부족, 비만·스트레스 등 생활습관과 유전·노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당뇨병은 무증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본인이 환자인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30~40대 젊은 환자 절반가량은 본인이 당뇨병인지조차 모르는 것으로 알려진다. 건강 검진 결과의 수치를 주의 깊게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2019~2020년 당뇨병이 있는 30세 이상 성인 중 65.8%만이 당뇨병이 있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 또 환자 10명 중 6명만 치료를 받았다. 게다가 치료 중인 경우에도 4명 중 1명만 당화혈색소 6.5% 미만 기준에 부합하는 조절률을 보였다.
식사량이 늘고 물을 자꾸 찾아 마시며 자주 소변을 보는 증상이 나타났다면 급성 당뇨 합병증 증상일 수 있다. 이유 없이 체중이 감소하는 것도 그렇다. 당뇨병은 피검사로 진단한다. 40세 이상 성인 또는 위험인자가 있는 30세 이상 성인은 매년 당뇨병인지 아닌지를 검사해보는 게 좋다.
당뇨병으로 진단되면 초기 합병증으로 잘 동반되는 당뇨망막병증·단백뇨증 등 당뇨 합병증 검사를 진행해 적절한 치료가 동반되도록 해야 한다. 당뇨가 있는 환자는 심뇌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1.56배 증가한다. 혈관 합병증인 심근경색증, 허혈성 뇌졸중뿐만 아니라 심부전, 말기 신 질환의 발생률 또한 높아진다.
당뇨병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 습관 실천이 가장 중요하다. 식이 교육을 받고 지속적으로 상담해 교정하면 당 조절에 효과적이다. 도움되는 생활습관으로는 ▶매일 일정한 시간에 적절한 양의 음식을 규칙적으로 먹고 ▶당·나트륨 섭취를 줄이고 ▶식이섬유가 풍부한 통곡물과 채소, 콩류·유제품 등을 챙기는 게 좋다.
이민영 기자 lee.minyoung@joongang.co.kr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