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특별한 이유 없이 잠자는 시간을 계속 미루는 행동의 심리적 기재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심리 치료 방법을 제시했다.
성신여대 서수연 교수 연구팀(서수연, 정선혜, 전휘수, 양혜정, 안혜영)은 취침 시간 지연 행동이 일상생활에서 충족되지 않은 심리적 불만족에 원인이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일찍 잠자리에 들어 일찍 일어나야겠다고 다짐하지만 침대에 누워 스마트폰을 보느라 늦게 잠을 자는 취침 시간 지연 행동은 규칙적인 일주기 리듬을 방해하고 만성적인 수면 부족을 초래한다.
연구팀은 건강한 20대 성인 60명을 대상으로 취침시간 지연 행동을 하는 이유에 대해 조사한 결과 ▶부정적 생각이나 불쾌한 기분에서 벗어나기 위해(31.3%) ▶하루 동안 열심히 일한 나에게 보상을 주기 위해(26.5%)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소속감을 느끼기 위해(18.1%) 순으로 응답했다.
자기 전에 스마트폰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이유가 단순히 심심해서가 아닌 일상 스트레스나 불쾌한 감정을 피하고 충족되지 않은 욕구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라는 의미다. 연구팀은 부족한 여가 시간과 휴식 속에서 스마트폰을 통해 즉각적인 감정을 해소하기 위해 잠을 미루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심리 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했더니 하루 평균 46분의 수면을 회복했다. 또 불면증 심각도, 낮 졸림 수준 같은 수면 평가 지표도 유의미하게 개선됐다. 우울 등 심리적 요인도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서수연 교수는 “스마트폰을 보다가 늦게 잔다면 그 이면에 작용하는 심리적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개인 맞춤형으로 진행되는 심리 상담 프로그램이 현대인의 수면 문제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수면학회 공식 학술지(Sleep Medicine)에 게재됐다.
권선미 기자 kwon.sunmi@joongang.co.kr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