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난임 환자 10년 전 대비 33.7% 증가

인쇄

미즈메디병원, 2013~2022년 남성 난임 환자 1만2655명 분석

성삼의료재단 미즈메디병원(이사장 노성일)이 2013년부터 2022년까지 남성 난임으로 진단받은 환자 1만2655명을 분석한 결과 전체 남성 난임 환자 수는 2013년 1095명에서 2022년 1464명으로 10년 전 대비 33.7%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령대별로 보면 30대 환자 비율은 2013년 74.2%에서 2022년 72.6%, 20대 환자 비율은 2013년 7.6%에서 2022년 5.8%로 줄었다. 반면에 40대 환자 비율은 2013년 16.4%에서 2022년 20.4%로 늘었다. 미즈메디병원 비뇨의학과 김기영 주임과장은 “과거와 달리 남성 난임 검사가 여성 난임 검사보다 비교적 간단해 병원을 찾는 남성이 증가하고 있다”며 “결혼과 출산 연령이 높아지면서 남성 난임 환자의 연령대 역시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남성 난임의 원인으론 정자 형성 장애, 정자 이동 과정의 장애, 부부 관계의 기능성 장애 등을 들 수 있다. 정자 형성 장애는 고환에서 정상적인 정자를 만들지 못해 정자 숫자의 감소나 활동성 저하, 모양 이상을 유발하는 경우다. 정자 이동 과정의 장애는 고환에선 정상적으로 정자가 만들어지지만 부고환, 정관, 정남, 전립샘 등의 이상으로 정자 이동·배출에 장애가 있는 상태를 말한다. 발기부전, 사정 장애 때문에 부부 관계가 어려운 경우도 임신이 어려울 수 있다.


김 과장은 “일반적으로 남성 난임은 단순히 한 가지 요인에 의해 유발되기보다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기는 결과”라며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지므로 검사를 통해 정확하게 원인을 파악하고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계정맥류나 정자 이동 통로가 막힌 폐쇄성 무정자증이 원인이라면 현미경 수술로 교정한다. 수술적 교정이 불가능한 폐쇄성 무정자증과 고환 기능에 문제가 생긴 비폐쇄성 무정자증의 경우 고환에서 정자를 추출해 체외수정하면 임신할 수 있다.

미즈메디병원 아이드림센터는 산부인과·비뇨의학과 의료진의 긴밀한 협진을 통해 난임의 원인을 파악해 부부에게 알맞은 솔루션을 제공하는 맞춤형 난임 치료를 시행한다. 특히 비뇨의학과에선 요로결석, 요실금, 전립샘 질환 등 비뇨기 질환뿐 아니라 30여년간 남성 난임 연구와 3500건이 넘는 남성 난임 수술을 바탕으로 남성의 가임력을 확인해 구조적 질환, 기능 이상을 진단하고 치료한다.


 
관련 기사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