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밝은명안과의원 송명철 원장.
그런데 과도한 각막 절삭은 다양한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시력교정술 후 잔여 각막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안압으로 인해 각막이 원뿔 모양으로 튀어나오는 원추각막이 생길 수 있다. 또한 각막 절삭면 주변부에 활성화된 각막 세포가 수술 부위로 이동해 비정상 세포로 증식하면서 각막혼탁이 나타나거나 근시 퇴행, 빛 번짐 등의 부작용 발생 우려도 크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초고도 근시 환자는 라식·라섹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최근 의술과 레이저 기술이 고도화하면서 라섹을 활용한 초고도 근시 수술법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초고도 근시 라섹은 건강한 눈 상태를 바탕으로 신중하게만 수술한다면 근시량이 많은 환자도 안전하고 완성도 높은 시력 교정이 가능하다.
대신 수술이 가능한 조건인지 확인하기 위해선 사전 검사가 필수적이다.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경우 충분한 렌즈 중지 기간을 둬 렌즈로 인해 눌리고 변형된 각막이 완전히 돌아오기를 기다린 후 검사 결과가 안정될 때까지 반복 검사를 해야 한다. 단순히 시력뿐만 아니라 각막의 내·외부 지형도와 생체역학적 요소, 망막, 시신경 상태까지 꼼꼼하게 확인한 뒤 수술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아울러 눈의 조건이 안정적이라면 수술 방법 또한 일반적인 라섹이 아닌 개인마다 다른 각막 형태를 고려해 각막 절삭을 최소화하는 1:1 맞춤 비구면 최소 각막 절삭 방식을 선택해야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11디옵터 이상의 굴절 이상을 가졌다면 ‘프리미엄 무통 A Plus 라섹’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해당 수술법은 근시 -12디옵터, 난시 -6디옵터까지 시술이 가능한 최신 레이저 장비인 EX500 스트림 라이트 레이저를 사용해 적은 각막 절삭량으로 잔여 각막량을 더욱 많이 남기면서 각막이 얇은 사람도 각막확장증 등의 치명적인 부작용으로부터 안전하게 수술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수술 시 개인의 동공 크기에 따라 레이저 범위를 조절해 야간 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각막 주변부 레이저 조사 범위를 최대 9.00㎜로 넓게 교정함으로써 빛 번짐, 눈부심, 야간 시력 저하 현상도 개선한다.
현재 초고도 근시를 위한 라섹 수술은 강남밝은명안과 등 몇몇 안과에서 시행되고 있다. 강남밝은명안과의 경우 해당 분야에서 24년 이상의 경험과 6만 안 이상의 수술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해당 병원은 라섹 수술 환자의 70% 이상이 고도 근시 이상 환자다.
과거에는 초고도 근시 환자는 라식·라섹 등의 수술이 불가능했지만 현재는 모든 조건이 완벽하다면 안전성 높은 시력교정법인 라섹으로 수술을 시도해 볼 수 있다. 다만 아무리 첨단 장비를 활용한다고 해도 의료진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초고도 근시 라섹 수술은 오랜 노하우를 가진 의료진과 병원을 선택해야 안전하고 만족스러운 수술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