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골절되고 뼈 통증 이어지면 다발골수종 의심

인쇄

방치하면 마비, 만성 신부전 올 수 있어 조기에 치료해야

3월 30일은 ‘세계 골수종의 날’이다. 전 세계적으로 다발골수종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완치를 기원하기 위해 지정된 날이다. 다발골수종은 백혈병, 림프종과 함께 3대 혈액암으로 꼽힌다. 백혈구의 일종인 형질세포가 악성화해 과증식되는 질환을 말한다. 주로 골수에서 과증식이 일어난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다발골수종 유병률은 10.7명으로 전체 암의 0.6%를 차지한다. 평균 발병 연령은 65~70세다. 40대부터 발생률이 증가하기 시작해 70대에 가장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방사선·농약·살충제·벤젠 등 화학물질 노출, 유전적 요소 등이 주요 발병 요인으로 거론된다. 고령에서 비정상적인 골절이 생기거나 허리·갈비뼈 부위 통증이 지속된다면 다발골수종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척추압박 골절 치료만 하다 놓칠 수도

다발골수종의 암세포는 M단백질이라고 불리는 비정상 단백질을 분비해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대표적인 증상은 뼈 약화와 이로 인한 골절, 뼈 통증, 빈혈, 신장 기능 이상, 고칼슘혈증 및 감염 등이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 단계라면 병이 상당히 진행됐을 가능성이 크다. 갑자기 척추에 압박 골절이 생긴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런 경우 혈액내과가 아닌 다른 진료과에서는 모르고 지나칠 수 있다. 일반적인 척추압박 골절에 대한 검사와 치료만 하다가 치료 시기가 늦어질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다발골수종을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하면 척추 뿐 아니라 팔, 다리 등 전신에 골절이 생길 수 있다. 척추 압박 골절에 의해 척추가 주저앉으면서 통증이 생기고 심한 경우 신경이 눌리면 마비 증상까지도 유발할 수 있다. 신장 기능 장애로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되면 투석을 받아야 한다. 이처럼 다발골수종은 다양한 신체 기관에 영향을 미쳐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고려대구로병원 혈액종양내과 김대식 교수는 “초기엔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질환을 조기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비정상적인 골절이 생기거나 뼈 부위 통증 등이 지속된다면 혈액내과를 찾아 정확한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여러 계열 약제 조합한 복합 치료·

다발골수종의 치료는 면역항암치료가 기본이다. 기존에는 세포독성 항암제들이 주를 이뤘으나, 최근에는 여러 가지 표적치료제와 면역항암치료제가 개발됐다. 주로 쓰이는 치료제는 ▶면역조절제제 ▶프로테아좀 억제제 ▶항체치료제 ▶세포독성 항암제 ▶스테로이드 등이다. 김 교수는 여러 가지 계열의 약제를 조합해 복합적인 치료가 이뤄진다환자의 나이와 컨디션 등을 고려해 자가조혈모세포이식 치료가 진행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복잡한 발생기전을 가진 다발골수종은 한 가지 원인을 타깃으로 하는 표적치료제를 사용한다고 해서 완치를 기대하긴 어렵다. 처음에는 효과가 좋았던 약제도 시간이 지나면서 효과가 줄어들고 재발이 빈번하다. 다양한 돌연변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약물에 대한 저항성이 생기기 때문이다. 다발골수종에 대한 지속적인 추적과 관찰이 필요한 이유다.

특히 다발골수종은 치료가 쉽지 않은 질환이다. 하지만 새로운 치료법들이 빠른 속도로 개발되고 있고 실제 임상에 사용되면서 치료 성적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김 교수는 “2021년엔 CAR-T 세포치료제인 ‘킴리아’가 국내에 허가돼 악성림프종과 급성림프모구백혈병 환자를 치료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며 “최근엔 다발골수종 CAR-T 세포치료제인 ‘카빅티’가 국내에 허가돼 재발성·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