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흡연이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높이는 중요한 원인으로 밝혀졌다. 비흡연자보다 흡연자에서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이 높고 하루 흡연 개비 수가 많고 평생 흡연량이 많을수록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률이 높았다.
강남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이용제 교수·김애희 강사는 ‘흡연이 대사증후군 발병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흡연과 대사증후군 발병의 연관성과 위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12년간 장기 추적했다. 대사증후군은 복부 비만, 고혈압, 고혈당, 이상지질혈증을 한꺼번에 앓는 것으로 심혈관 질환과 당뇨병 위험을 높이는 잠재적 질병이다.
연구팀은 2001~2014년까지 40~69세 한국 남성 3151명을 대상으로 하루 흡연량과 평생 흡연량으로 세분화해 대사증후군의 발병 위험도를 조사했다. 하루 흡연량은 하루에 피우는 담배 개비 수, 평생 흡연량은 하루 흡연 개비 수와 총 흡연 년 수를 곱한 갑년으로 계산했다.
하루 흡연량인 개비를 기준으로 보면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금연자는 비흡연자와 비슷했지만 0~9개비 흡연자는 1.5배, 10~19개비 흡연자는 1.66배, 20개비 이상 흡연자는 1.75배였다. 평생 흡연량인 갑년을 기준으로 했을 땐 금연자의 경우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평생 누적 흡연량과 관계없이 흡연자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20갑 년 미만 흡연자는 1.63배, 20갑 년 이상 흡연자는 1.67배 증가했다. 결국 하루에 1갑씩 20년간 매일 흡연할 경우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이 비흡연자보다 약 1.7배 높았다.
이용제 교수는 “흡연이 흔히 알려진 폐 질환, 심혈관 질환, 각종 암의 위험인자이면서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한 연구”라며 “흡연이 직·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인슐린 저항성과 만성 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과거 흡연 경험이 있더라도 금연하면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률이 비흡연자와 유사할 정도로 현저히 감소하므로 금연을 강력히 권장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임상내분비학회 저널(Endocrine Practice)에 게재됐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