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60% 이상은 수분 섭취 기준 '미달'

인쇄

공주대 김선효 교수팀, 국민건강영양조사 5년 결과 분석

우리 국민의 60% 이상이 물 등 수분을 섭취 기준만큼 마시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의 하루 평균 수분 섭취량은 2167mL였다.

공주대 기술가정교육과 김선효 교수팀이 5년간 (2013∼2017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수분 섭취량은 2167mL로, 전체의 62%가 본인 나잇대의 수분 섭취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연구결과(2020 한국인 수분 섭취기준 설정과 앞으로의 과제)는 한국영양학회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가 함께 출간하는 학술지 ‘영양과 건강 저널’(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최근호에 소개됐다.

수분 섭취는 음식 중의 수분(음식 수분)과 물·음료 등 수분(액체 수분) 섭취를 통해 이뤄진다. 액체 수분 섭취량은 물·음료·우유(하루 200mL) 섭취량을 합해 산출한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액체 수분 중) 하루 평균 음료 섭취량은 2010년 117mL에서 2016년 212mL, 2020년 230mL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2020년 국민건강통계)”며 “액체 수분을 섭취할 때는 당류·카페인 등이 함유된 음료보다 물·우유를 섭취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수분은 체중의 60∼65%를 차지하는 인체의 기본 구성요소다. 체내 수분의 약 3분의 2는 세포 내, 나머지 3분의 1은 세포 외에 분포한다. 수분은 혈액·림프액·타액·관절액·뇌척수액 등 다양한 형태로 체내에 존재하며, 영양소 운반, 노폐물 배출, 대사, 체온 조절, 윤활유 작용, 신체 보호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김 교수팀은 성인의 하루 수분 섭취기준으로 남성 19∼29세 2600mL, 30∼49세 2500mL, 50∼64세 2200mL, 여성 19∼29세 2100mL, 30∼49세 2000mL, 50∼64세 1900mL를 제안했다. 성인에서 남녀 모두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 섭취기준이 감소한다고 본 것이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노인이 수분 섭취기준을 충족하려면 갈증을 해소할 만큼만 수분을 섭취하는 것으론 부족하다”며 “노인은 갈증이 느껴지지 않아도 틈틈이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심교 기자 simkyo@joongang.co.kr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