놓치지 말아야 할 연령별 구강 검진 가이드

인쇄

치석 제거, 치주염 관리로 노년기 구강 건강 챙겨야

치아 건강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특히 노년기까지 치아 건강을 유지하려면 어릴 적부터 꼼꼼하게 관리해야 한다. 인제대 상계백병원 치과·구강악안면외과 박관수 교수의 도움말로 놓치지 말아야 할 연령별 구강 관리법을 알아봤다.   


어린이, 연 2회 정기 검진 권장
가정에서 칫솔질과 같은 구강 관리는 필수다. 연 2회 정도 치과를 방문해 정기 검진을 받고, 필요하면 X선 촬영을 진행해 영구치 발육 상태, 구강·턱의 질병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 좋다. 치과 검진은 치아나 잇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혀, 볼, 턱, 얼굴을 전반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어린 시절 혀가 짧아 발음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어린이도 이 시기에 검진과 진단을 받으면 간단한 치과 수술을 통해 혀를 늘여줄 수 있다.
   
청소년, 턱과 얼굴 검진 필수
영구치와 치아의 배열이 완성되는 시기다. 아직 충치가 생기지 않은 영구치 중에서도 큰 어금니는 씹는 면에 홈이 많아 충치가 생기기 쉬우므로 치아 홈 메우기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치아의 발육은 턱과 얼굴의 발육과 함께 이뤄지므로 이 시기에 턱과 얼굴에 대한 검진도 필수다. 특히 환경에 민감하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시기의 청소년이 턱관절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입을 벌리고 다물 때 턱에서 딱딱 소리가 나거나 입이 덜 벌어질 땐 전문 치과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청장년, 사랑니 검사받고 치석 제거 
20대 초에 흔히 치과를 찾는 요인은 사랑니다. 매복 정도에 따라 통증과 함께 잇몸이 붓거나 음식이 끼고 인접한 치아에 충치를 일으키는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당장 아무런 증상이 없더라도 앞으로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이 시기에는 사랑니 검사를 꼭 포함해야 한다. 치주염은 중년기에 주로 발생하지만, 그 원인의 시작은 청장년기이다. 잇몸병의 주된 원인은 치아에 쌓이는 치석이므로 제거를 위해 1년에 한 번 치과를 방문해 스케일링을 받고 전반적인 구강 상태를 검진하는 것이 좋다.
    
중년, 치주염 악화 막는 치료 
치주염은 중년에 발생하기 쉬운 구강 질환이다. 이 시기에는 치주염의 예방과 진행을 막는 데 집중해야 한다. 스케일링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더 깊은 범위의 잇몸 치료와 수술을 고려하고 더 심한 경우 발치를 하기도 한다. 근래에는 잇몸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 물질이 혈액을 타고 이동하며 전신 건강에 영향을 준다는 보고가 나오고 있어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 간단한 파노라마 엑스레이 촬영으로 잇몸뼈를 포함한 턱뼈 전체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구강암이 발생하기 쉬운 곳의 검진도 가능하다.
   
노년, 궤양·암·괴사 예방에 신경 써야 
노년기에는 치아를 상실하기 쉽다. 이미 임플란트 치료를 받았거나 치아가 하나도 없더라도 치과 검진과 X선 검사가 필요하다. 간혹 혀나 볼 점막에 궤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치과 검진 후 적절한 치료나 예방 조처를 해야 한다. 입 안이 헐어서 잘 낫지 않거나 3~4주 이상 지속할 경우 구강암의 전조 증상일 수 있어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한다. 노년기에 골다공증 치료를 위해 특정 골다공증약이나 주사를 장기간 투여받으면 턱뼈 괴사증이 생길 수 있다. 많이 진행될 경우 복잡한 수술을 받아야 하므로 미리 확인하고 예방 조처를 한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