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갑자기 찾아온 무릎 통증...원인 다양해 정확한 진단 필수

인쇄

류동진 인하대병원 정형외과 교수

완연한 봄에 접어들었다. 많은 이들이 주말 나들이를 계획하거나 운동 목표를 세운다. 그런데 봄은 무릎관절증 환자가 가장 많은 시기이기도 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2019년 2월 61만2562명이던 무릎관절증 환자가 3월 69만9977명으로 8만명 이상 급증했다. 같은 해 4월에는 증가세가 계속 이어져 73만6629명으로 늘었고, 5월에는 1년 중 가장 많은 75만643명까지 증가했다. 봄을 맞아 야외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늘고, 코로나19 거리 두기가 해제되면서 이 같은 추세는 올해도 비슷할 것으로 예상한다.

4~5월 무릎관절증 환자가 급증하는 이유는 대체로 추운 겨울 동안 신체 활동이 줄어들면서 관절 주변 근육이 감소하고 유연성이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관절 사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무릎은 일생 가장 움직임이 많은 관절 중 하나이며 몸에서 가장 크고 복잡한 관절에 속한다. 무릎은 체중의 60~70%를 지지하며 앉고, 서고, 뛸 수 있게 한다. 무릎관절은 대퇴골, 경골, 슬개골의 뼈로 구성돼 있고 이러한 골 구조를 각종 인대와 연부 조직이 둘러싸고 있다.

대표적으로 무릎이 아픈 증상으로는 시리고 부음, 뚝뚝 소리가 남, 어긋나는 느낌이 남, 잘 구부러지지 않음 등이 있다. 무릎은 걷고 달리며 스포츠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강한 마찰과 압력을 받는 데다 외력을 받기 쉬운 위치에 자리해 손상되기 쉽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고 불안정해 다양한 이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증상만으로 특정 질환이나 손상을 진단하기는 쉽지 않다.

무릎관절에 부하 되는 충격을 흡수·분산시켜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월상 연골은 퇴행성 파열이 발생할 경우 치유가 쉽지 않다. 특히 한번 손상된 관절 연골은 재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장년층은 무릎관절 건강에 대한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무릎관절과 관련된 질환을 예방하려면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평소 허벅지 근육 운동을 꾸준히 해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겨우내 활동이 줄어든 상태에서 갑자기 무리하게 등산이나 달리기와 같은 운동을 하면 무릎 통증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 스포츠 활동을 하기 전에 충분한 스트레칭을 해주고, 단계적으로 운동 강도를 서서히 높여가야 무릎관절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무릎에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은 매우 다양하다. 슬개건염, 슬개골 연골연화증, 반월판 연골 손상, 십자인대 손상, 퇴행성 관절염 등이 대표적이다. 통풍과 류머티즘 관절염도 무릎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원인 질환이 비슷한 무릎 통증이나 증상을 유발하기 때문에 자가 진단이 쉽지 않다. 따라서 정형외과, 류마티스내과, 재활의학과 등에서 정확하게 진단을 받은 후 본인에게 적합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정형외과에선 반월판 연골 손상, 십자인대 손상, 퇴행성 관절염 등 근골격계 이상으로 인한 무릎 통증을, 류마티스내과에선 통풍, 류머티즘 관절염 등 대사 이상이나 자가면역 이상으로 인한 무릎 통증을 치료한다.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고 어느 진료과를 찾아야 할지 고민되는 무릎 통증이 있다면 대학병원의 전문클리닉이나 전문센터를 찾는 것이 도움된다. 대학병원에선 정형외과, 신경외과, 류마티스내과, 재활의학과 등 관련 진료과가 전문적인 협진 체계를 갖추고 환자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