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가렵고 물집 생기면 '저온화상' 의심, 함부로 만지지 마세요

인쇄

겨울철 흔한 저온화상 대처법

겨울은 의외로 화상 환자가 많은 계절이다. 온돌 위에 장시간 누워있거나 핫팩, 난로와 같은 난방기구를 사용할 때, 근골격계 질환으로 뜸·찜질을 받다 자기도 모르게 화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저온화상은 40~70도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피부 손상이 누적되면서 화상을 입는 경우다. 고온에 일시적인 노출로 생기는 일반 화상과 달리 저온에서 피부가 장시간 노출되면서 발생한다. 고온화상은 즉시 통증이 발생하지만 저온화상은 대부분 통증이 없거나 색소침착, 열성 홍반, 반점, 가려움증, 물집 등 비교적 증상이 경미하다.


저온이라는 용어 때문에 일반 화상보다 질환에 대한 경각심도 낮은 편이다. 하지만 초기 증상만 경미할 뿐 오히려 장시간에 걸쳐 조직 손상이 깊은 곳까지 이뤄지면 피부조직 괴사나 가피 형성, 궤양 등 심각한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일반 화상처럼 1~3도 화상을 입을 수 있고 더 심각한 경우도 있다. 소비자보호원 조사에 따르면 전기장판에 의해 저온화상을 입은 환자 중 93.4%가 2도 이상의 화상으로 진단됐다.

노원을지대병원 응급의학과 김덕호 교수는 "저온화상은 대부분 자각 증상이 늦게 나타나 병원을 방문하는 시점도 늦다"며 "이는 치료 기간이 늘어나는 결과로 이어진다"고 경고했다. 앞선 연구에서 저온화상 환자가 전문병원을 방문하는 시점이 화상 발생 후 2주가 흐른 뒤였다.

저온화상은 일반 화상과 같이 얕은 2도 화상이라면 소독치료를 시행한다. 하지만 깊은 2도 또는 3도 화상이라면 피부 이식술, 피판술 등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심한 화상 흉터가 남으니 조기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김 교수는 "화상은 초기 증상보다 시간에 따라 환부가 점차 진행되는 특징이 있다"며 "육안적 모습만으로 자체 판단하기보다 화상이 의심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치료 기간도 줄이고,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저온화상을 예방하려면 시간, 강도에 신경써야 한다. 온열 기구는 두꺼운 이불을 깔고 사용하며 고온으로 장시간 사용은 피해야 한다. 핫팩도 최고온도가 70도까지 오르기 때문에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옷 위에 부착하는 게 좋다. 난로를 사용할 때는 최소 1m 이상 떨어져 사용한다. 온열 기구를 쓰다 피부가 간지러우면 저온 화상의 신호이므로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

저온화상이 의심된다면 차가운 물로 통증이 사라질 때까지 열기를 식혀야 한다. 만약 물집이 생겼다면 임의로 제거해선 안 된다. 세균 침입을 막아주는 물집을 제거하면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소주나 알코올을 바르는 것은 상처를 악화시켜 치료 기간만 늘리므로 피한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