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기저귀 갈 때 이것 살피세요

인쇄

장폐색 합병증 유발하는 ‘소아 탈장’

소아탈장(서혜부 탈장)은 영아의 약 3~5%에서 나타나며 환자 중 약 10%는 가족력이 있다. 평균 발견 연령은 만 3.3세로 3분의 1이 생후 6개월 이내에 발견된다. 태아 초기에 생겨난 고환이나 난소는 뱃속에 위치하고 있다가 임신 7~9개월 사이에 이동하며 제 위치를 찾아 간다. 이때 이동 통로로 남아에게는 초상돌기, 여아에게는 누크관이 생겨나는데 이들은 정상적인 이동이 끝나면 저절로 닫힌다. 하지만 일부 아기들은 이 통로가 닫히지 않은 채 태어나고, 이를 통해 장기가 빠지는 서혜부 탈장이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위험한 건 남자 아이, 미숙아다. 남아가 여아보다 5배 정도 발생 빈도가 높으며, 임신 37주 이전에 태어난 미숙아는 서혜부 탈장 발생률이 30% 정도로 만삭아보다 높다. 서혜부 탈장은 서혜부 부위(사타구니)가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증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평소에는 튀어나오지 않다가 아이가 울거나 대변을 보는 등 복압이 올라가는 행동을 했을 때 튀어나왔다가 저절로 제자리로 돌아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경우 아이들은 대개 특별한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다. 튀어나온 부위가 저절로 들어가지는 않지만 누르면 다시 들어가기도 하는데 이때도 아이들은 별다른 증상을 호소하지는 않는다.

 
튀어나온 부분 딱딱하고 부으면 병원 가야

문제는 빠져 나온 장이 덩어리처럼 튀어나온 상태로 눌러도 들어가지 않는 경우(감돈탈장)다. 감돈탈장은 나이가 어릴수록 더 잘 발생하는데, 튀어나온 부분이 단단하게 만져지고 주변이 붓기도 하며 남아의 경우 음낭이 푸른색을 띄기도 한다. 이때 아이는 구역, 구토, 복통 등의 증상을 호소하게 되며, 이 경우 응급수술을 하지 않으면 장폐색과 괴사로 위험해 질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서혜부 탈장의 유일한 치료법은 수술이다. 복벽이 약해져 발생하는 대게 인공막 등의 보강 없이 수술로 장기가 탈출하는 길을 묶어서 치료한다. 수술방법에는 절개와 복강경 두 가지가 있는데, 절개와 복강경을 말 그대로 바깥쪽에서 절개해 수술부위에 접근하느냐 혹은 복강경을 통해 몸 안쪽에서 접근하느냐의 차이다.

절개수술은 탈장 된 부위의 피부를 2~3㎝ 정도 절개해 진행한다. 복강경 수술은 보통 카메라를 넣기 위해 배꼽에 1㎝ 남짓을 절개하고, 양옆에 수술 도구를 넣기 위한 5mm 크기의 구멍 2개를 뚫어 진행하는데, 배꼽 부위에 1.5~2㎝ 크기의 구멍 하나만을 뚫고 진행하는 단일공 방식도 있다. 절개방식이 유일했던 과거와 달리 요즘엔 대부분 복강경 수술로 진행하며, 수술 후 재발 확률은 0.5~1%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고려대 구로병원 소아외과 나영현 교수는 “아이가 전신마취 수술을 해야하기 때문에 걱정하고 주저하는 부모들이 많은데, 탈장은 장 괴사, 천공, 복막염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발견되면 전문의를 찾아 진료받고 수술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며 “수술 부위 주변에는 정관, 고환혈관 등 중요기관이 있어 수술 숙련도가 중요하므로 소아외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서혜부 탈장은 태아 발달과정에서의 발달 미흡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것이므로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다만 아이들이 어려 원활한 의사소통이 어려운 연령에서 나타나는 질환이므로 부모가 아이들을 세심히 관찰해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영현 교수는 “서혜부 탈장은 저절로 호전되는 질환이 아닌데다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평소 부모님들이 아이의 기저귀를 갈거나, 목욕시킬 때 사타구니의 좌우 대칭 여부를 관찰해 초기에 발견해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