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중 가장 늦게 나는 사랑니, 기울어져 있다면 빼야 해요

인쇄

사랑니 발치 주의사항

치과 치료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 중 하나가 사랑니 발치다. 치아 중 가장 늦게 나는 사랑니는 큰 어금니 중 하나로 입 가장 안쪽에 위치한다. 시기적으로 늦게 자라다보니 턱뼈가 작은 사람은 사랑니가 자리 잡을 공간이 부족하다. 아예 나오지 않고 잇몸 안에 숨어있거나, 일부만 나오기도 한다. 설령 나오더라도 비정상적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도 흔하다. 정상적인 각도로 자라지 않은 사랑니는 칫솔질로 깨끗하게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사랑니가 충치나 잇몸 염증 등을 야기해 구강 건강을 위협한다. 사랑니 발치가 필요한 이유다. 강동경희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 홍성옥 교수의 도움말로 사랑니 발치에 대해 알아봤다.


큰 어금니중 하나인 사랑니는 사람에 따라 자라는 위치, 형태, 크기, 갯수도 제각각이다. 어떤 사람은 4개 모두 나지만, 평생 나지 않기도 한다. 정상적으로 자라 어금니를 대체하는 경우도 있으나 공간 부족으로 기울어져 자라거나 일부만 났을 땐 발치할 것을 권한다. 

사랑니 발치는 자리잡은 위치와 기울기, 연령에 따라 난도가 달라진다. 아래턱 사랑니는 기울어진 각도가 중요하다. 똑바로 자란 사랑니 발치가 가장 쉽고, 부분 매복→근심완전매복→수평완전매복→원심원전매복 순으로 어렵다. 위턱 사랑니는 위턱뼈 속 비어있는 공간인 상악동에 닿는 정도에 따라 난도가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사랑니는 18~20대 중반에 뽑는 것이 좋다. 50대 이후에는 창상 치유력이 떨어진다. 사랑니를 뺄 때는 심혈관 질환, 당뇨 조절, 임신, 골다공증 여부에 따라 발치를 결정한다. 사랑니 발치 전 치과의사와 상담을 통해 발치 여부를 결정한다. 

사랑니 발치는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된다. 발치 중에는 무리하게 사랑니를 뽑다가 치아가 깨지거나 인접한 치아가 손상될 수 있다. 치아 신경 자극도 고려해야 한다. 뇌신경 중 5번째 신경인 삼차 신경은 사랑니를 지난다. 사랑니를 뽑을 때 치아 신경을 건드리고 있지는 않나 확인한다. 삼차 신경의 줄기 중 하나인 하악신경은 하치조신경, 협신경, 설신경으로 나뉜다. 하치조신경은 아랫 치아 및 턱과 입술 쪽에 감각을 전달하고 설신경은 혀 전방부의 감각 및 부분적으로 맛을 담당해 이를 잘못 건드리면 감각마비가 올 수 있다. 홍성옥 교수는 “설신경으로 인한 일시적 감각 마비는 약 2%, 영구 마비는 약 0.2%에서 발생하며 하치조신경과 관련된 일시적 감각 마비는 13.4%, 영구적인 손상은 1.6~1.8%로 문헌에 보고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사랑니 발치후 관리도 중요하다. 발치 후에는 잇몸이 부어오르고 출혈이 난다. 2시간 마다 거즈를 갈고 냉찜질을 하면 부기·출혈을 줄일 수 있다. 통증이 3일 이상 지속될 때도 주의한다. 발치 후 이틀 정도는 지나면 통증이 줄어야 한다. 계속 발치 부위가 아프다면 창상 감염을 의심해야 한다. 사랑니 발치 부위에 음식물이 끼면 부패하면서 정상적인 치유가 되지 않는다. 염증도 살펴야 한다. 심하면 입원 치료를 받거나 고름을 없애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사랑니 발치 후 근육경련으로 입을 벌리기 힘든 경우도 있다. 이때는 온찜질을 자주하고 개구운동요법을 서서히 진행한다. 권선미 기자 kwon.sunmi@joongnag.co.kr

 
관련 기사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