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 막혀 답답한 ‘축농증’ 코로나로 오해해 방치하면 더 큰 일

인쇄

콧물, 후각 상실 등 나타나면 접촉 최소화하고 병원 찾아야

우리 몸의 신체 기관인 코는 머리뼈와 얼굴뼈 속에 있는 공간과 연결돼 있다. 이 연결 공간을 ‘부비동’이라 부른다. 부비동에는 공기가 차 있어 일명 공기주머니로도 불리는데 두개골의 무게를 줄여주고, 목소리를 울려 윤기 있는 소리로 만들어 준다. 특히 부비동에는 자연공이라는 창문이 있다. 이곳을 통해 공기가 드나들면서 콧속에 적절한 온습도를 유지해준다. 콧살에 있는 미세 섬모도 자연공을 통해 나쁜 물질을 내보내며 콧속 위생관리 역할을 한다.


그런데 감기, 비염, 구조적 이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자연공이 막히는 경우가 있다. 당연히 콧속 위생도 나빠진다. 이 중 세균 감염으로 인해 공기주머니에 농이 고이게 되는 현상이 부비동염, 즉 축농증이다.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김호찬 교수는 “축농증은 한 번 걸리면 증상이 최소 2~3주 내 길게는 수 개월간 지속된다. 문제는 급성 부비동염을 적절히 치료하지 않거나 급성염증이 반복돼 2~3개월 이상 계속되면 만성화 단계로 접어든다는 것이다 약물치료가 어려운 데다 외부 자극이 사라지더라도 코의 과도한 염증반응은 없어지지 않고 계속된다”고 설명했다.

만성 축농증 주요 증상은 누런 콧물, 코막힘, 후각 감퇴, 콧물이 코 뒤로 넘어가는 후비루 증상이 있다. 기침, 얼굴 통증, 치아 통증, 구취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특히 축농증이 심해져 눈이나 뇌 등 주변기관으로 염증이 파급되는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한다.

2~3주 정도로 짧게 오는 급성 축농증은 항생제를 포함한 약물치료를 시행한다. 스테로이드 비강분무제, 항염증제, 혈관수축제를 추가로 사용하기도 한다.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약은 2~3주가량 복용해야 한다. 급성기간 동안 약물을 충분히 사용하지 못하거나 염증을 제거하지 못한 채 3개월 이상 방치되면 만성 축농증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성이 되면 약물치료에 반응이 낮아 내시경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콧물, 코막힘, 후각 상실 등 축농증 증상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증상과도 유사하다. 특히 후각 상실은 코로나19 초기 증상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증상이 급성으로 나타났다면 증상만으로는 일반 감기, 축농증, 코로나19를 구별할 방법은 없다. 다만 갑작스럽게 나타난 것이 아니라 오래 전부터 나타난 후각, 미각 이상은 코로나19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추측할 뿐이다. 

김호찬 교수는 "환자가 느끼는 코 증상만을 가지고 질환을 명확히 구별할 수는 없다"며 "증상이 있다면 최대한 타인 접촉을 피하고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해 코로나19 검사와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