뻣뻣한 칫솔로 양치질 했을 때, 내 치아에 벌어지는 일

인쇄

치아·잇몸 사이 패이면서 시린니 증상 심해져

무더운 여름철, 차가운 물이나 음료를 마시다가 갑자기 치아가 시린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던 시린 증상은 갈수록 심해져서 결국 치과를 찾게 된다. 치아는 겉과 속이 다르다. 겉은 법랑질이라는 단단한 조직이 감싸고 있다. 속은 상아질이라는 미세한 관(상아세관)으로 이뤄져 있다. 치아 내부에 분포한 미세한 관은 액체로 가득 차 있다. 외부의 온도·압력 등 자극에 민감하다. 이가 시리다고 느끼는 이유다.

치아가 시린 원인은 다양하지만 대개 ‘치경부 마모증’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치경부 마모증은 치아 목 부분(치경부)에 해당하는 치아와 잇몸이 만나는 경계 부분에 V자 모양으로 홈이 생기는 증상이다. 치아의 가장 바깥부분인 법랑질이 마모되는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다가 홈이 깊어지면서 상아질이 외부로 노출되며 치아가 냉온자극에 민감해진다. 이때 이가 시린 증상을 경험한다. 관악서울대치과병원 치과보존과 송윤정·조낙연 교수의 도움말로 치경부 마모증에 대해 알아봤다.

Q. 치아와 잇몸 사이에 홈이 생기는 이유는?


좌우로만 칫솔질을 한다면 단단한 치아의 법랑질이 마모돼 치경부 마모증이 발생할 수있다. 특히 뻣뻣한 칫솔모를 사용한다면 부드러운 칫솔모에 비해 발생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칫솔질을 할 때 치아와 칫솔모의 기계적 접촉으로 치아와 잇몸 사이가 패인다. 오징어 등 질긴 음식을 자주 씹거나 이를 꽉 무는 습관 등 치아에 과도한 힘을 가하는 습관이 있는 경우도 주의한다.

이때는 힘이 치아 목 부분에 전달돼 치아가 부분적으로 떨어져 나가면서 그 부위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과일주스나 탄산·스포츠 음료 등 산성 음료를 자주 섭취할 때도 치경부 마모증이 생길 수 있다. 치아가 산에 자주 노출돼 치아 법랑질이 부식돼 닳으면서 치경부 마모증이 생긴다.  
 
Q. 치경부 마모증 치료를 꼭 해야 하나요, 그냥 두면 안 될까요?

이가 시리거나 통증이 있다면 치과를 방문해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치경부 마모증 초기에는 치아에 홈이 생겼는지, 더 이상 마모가 진행되지는 않는지 등 주기적으로 상태를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하지만 치아 법랑질 손상이 심하다면 점차 통증이 심해져 치료를 해야 한다.  

치경부 마모증으로 치아 법랑질 마모가 진행되면 치아 내부의 상아질이 바깥으로 노출되다. 상아질은 법랑질에 비해 경도가 낮아 점점 빠르게 치아 마모가 진행된다. 이렇게 마모된 부위에 충치 생길 수도 있다.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치아가 부러질 수 있다. 송윤정 교수는 “치아의 목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신경이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치경부 마모증을 방치하면 신경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고 말했다.

작은 어금니에 발생한 치경부 마모증. 법랑질 마모가 일어난 부위에 V자 홈이 생기고 그 틈에 음식물이 끼면서 충치가 생겨 복합레진으로 치료했다.

Q.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치아 법랑질이 더 이상 마모가 진행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 치료는 치아의 마모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치아의 V자 홈 형성이 미약해 별다른 증상이 없거나 심하지 않다면 주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해 점검한다. 홍미 뚜렷하게 형성됐다면 치아 색과 비슷한 복합레진이나 글라스 아이오노머 등 충전재를 통해 홈을 메꿔 치아가 더 이상 마모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이미 마모가 심각하게 진행돼 치수가 노출됐다면 신경치료를 시행하고 크라운을 제작해 씌운다. 이와 함께 치경부 마모증이 발생한 원인도 찾아야 한다. 조낙연 교수는 “치경부 마모증의 원인을 찾아 해결하지 않은 상태로 치료만 하면 언제든 다시 치경부 마모증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치과 정기검진도 필요하다. 시간이 지나면 치료부위가 변색돼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한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