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방역·보건용·미세먼지 등 마스크 용어 혼재 심각"

인쇄

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시판 마스크 선택법 안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예방을 위해 마스크가 연일 품절 사태를 빚으며 높은 관심을 받는 가운데, 올바른 마스크 선택법에 관한 논문이 발표돼 눈길을 끈다.

가천대 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강성규·함승헌·최원준·이완형 교수팀은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허가된 보건용 마스크의 특성 분석'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2014년 이후 시장에 허가된 마스크가 많아지면서 허위·과장 광고로 혼선이 가중돼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최근호에 실린 이 논문은 최근 시장에 유통, 판매되는 마스크가 사용 목적, 성능에 따라 '보건용 마스크', '방진 마스크', '방한대' 등으로 용어나 표기 방법이 다양해 많은 소비자가 혼란을 겪는 데 따라 정확한 선택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됐다.

 
허가 받은 보건용 마스크 543종 분석

연구팀은 식약처로부터 허가받아 시판 중인 총 543종의 보건용 마스크를 비롯한 시중의 마스크의 등급·용어·크기·허가 현황을 분석했다. 그 결과, 국내 시장엔 추위를 막아주는 방한대가 입자상 물질을 제거해주는 것처럼, 또는 효과가 없는 마스크가 효과가 있는 것처럼 허위광고되고, 허가받지 않은 제품이 팔리는 게 확인됐다.

연구팀은 "마스크 선택 시 식약처로부터 허가된 의약외품 문구, KF(Korea Filter) 등급을 확인하고 용도에 맞게 선택해야 한다"며 "식약처로부터 허가된 의약외품 보건용 마스크 가운데 KF등급(KF80, KF94, KF99)에 따라 용도에 맞게 선택하고, 해외 인증인 N95라는 표현은 가급적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KF는 미세입자를 차단하는 성능인 분진포집효율(마스크가 시험입자를 걸러주는 비율)을 80~99%로 구분해 등급을 나눈 것을 말한다. 보건용 마스크는 필터의 분진포집효율이 80% 이상이면 KF80, 94% 이상이면 KF94, 99% 이상이면 KF99로 구분한다. 미국은 N95, N99, N100으로 분류하는데, 분진포집효율은 각각 95, 99, 99.97%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KF'는 한국 기준, 'N'은 미국 기준  

논문에 따르면 국내에 판매되는 마스크 중 KF등급을 받은 보건용 마스크는 지난해 3월 5일 기준 총 543종이다. 이 중 0.6μm의 미세입자를 차단하는 KF80 등급 제품은 257종(47.3%), 0.4 및 0.6μm의 미세입자를 차단하는 KF94 등급 제품은 281종(51.8%), KF99등급은 5종(0.9%)으로 조사됐다.

이들 보건용 마스크 543종 가운데 '황사'라는 문구가 포함된 마스크는 388종, '방역'이라는 문구가 포함된 마스크는 197종, '보건용'이라는 문구가 포함된 마스크는 45종, '미세먼지' 문구가 포함된 마스크는 3종이었고 기타 마스크는 36종이었다. 또 황사 또는 방역문구가 포함된 마스크는 123종, 황사 및 보건문구가 동시에 포함된 마스크는 1종이며 용어를 혼합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처럼 시장에선 보건용 마스크가 '황사마스크' 또는 '미세먼지 마스크' 등으로 불린다. 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강성규 교수는 "마스크에 대한 정의와 정확한 착용 방법이 국민에게 제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스크의 누설률을 줄이려면 마스크와 얼굴의 밀착력이 좋아야 한다. 자신의 얼굴형 및 얼굴 크기에 맞는 것을 선택해야 한다. 일반형이나 배기밸브형 보건용 마스크는 먼지·세균에 오염될 수 있으므로 재사용하지 않는 게 정석이다. 마스크를 쓸 때 손수건·휴지 등을 덧대면 밀착도가 떨어진다.

강 교수는 “보건용 마스크를 선택할 때는 제품명이나 광고 표기 용어보다는 '의약외품' 문구와 'KF등급'을 확인해야 한다”며 “사업장에서는 특급, 1급, 2급으로 인증된 마스크를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마스크를 썼다고 입자상 물질을 100% 차단할 수 없어 오염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면 외출, 야외 활동을 자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