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 신부전 환자, 막힌 혈관 뚫기 보다 새로 연결하는 게 효과적

인쇄

대전성모병원 심장내과 연구팀

신장 기능이 약할수록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심장내과 허성호, 김대원 교수 연구팀은 국제연구협력그룹(IRIS-LM registry)에 등록된 좌주간부 병변 환자 4894명을 대상으로 신장 기능에 따른 심혈관사건 발생 정도를 비교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대상자를 사구체여과율(eGFR)을 기준으로 1군(60㎖/min/1.73㎡ 이상), 2군(30~60㎖/min/1.73㎡), 3군(30㎖/min/1.73㎡ 미만) 등 총 3군으로 나눠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을 조사했다. 사구체여과율은 신장 기능을 측정하는 지표로 수치가 낮을수록 신장이 손상됐음을 뜻한다.

연구 결과 중증 신부전에 해당되는 3군 환자군은 신장 기능이 양호한 1군보다 심혈관 질환 악화 소견이 3.39배 높게 나타났다. 2군은 1군에 비해 1.46배 높았다. 

특히 3군의 경우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을 시행한 환자가 관상동맥우회술(CABG)을 받은 환자보다 심근경색, 개통혈관 재협착, 뇌혈관 질환 등 심혈관 사건이 1.88배 많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중증 신부전 환자의 치료는 심장에 새로운 혈관을 연결하는 관상동맥우회술이 더 효과적임을 확인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연구팀은 풍선이나 스텐트로 막힌 혈관을 뚫어주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은 신부전 정도에 관계없이 시술 관련 출혈 위험률이 더 낮았고 관상동맥우회술은 재시술률이 더 낮음을 세계 최초로 밝혔다.

김대원 교수는 “신부전은 좌주간부병변 환자의 치료로 활용되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이나 관상동맥우회술시 심혈관 사건 발생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한 위험인자로 생각된다”며 “또 중증 신부전시에는 좌주간부병변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이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보다 좋은 결과를 보여준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유로인터벤션(Eurointervention)' 최신호에 게재됐다.
박정렬 기자 park.jungryul@joongang.co.kr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