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윤창환 교수 연구팀은 2002~2013년 정기 검진을 받은 사람 약 50만명의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40대 흡연자는 급성심근경색 등 심장계통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도가 비흡연자 대비 약 2.79배 높았다. 50대 흡연자는 심장 외의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도가 비흡연자 대비 약 2.8배 높아 연령대 중 가장 큰 위험도를 보였다.

흡연 여부에 따른 심장계통 질환 사망 위험도 [사진 분당서울대병원]
윤창환 교수는 “평소 급성심근경색으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젊은 남성 환자는 거의 예외 없이 흡연자로, 이번 연구결과에서는 담배가 젊은 나이 돌연사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점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며 “젊은 나이에 사망하거나 나이가 들어 암과 각종 질환에 시달리게 되는 것이 흡연의 위험성”이라고 강조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윤창환 교수
이번 연구는 담배가 가진 위험성을 세대에 따라 정량적으로 분석한 국내 최초의 연구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플로스원(PLOS ONE)에 게재됐다.
박정렬 기자 park.jungryul@joongang.co.kr
< 저작권자 © 중앙일보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