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섯 살 눈 건강이 평생 시력 좌우

인쇄

눈 자주 찡그리고 자주 넘어지면 안과 정밀 검사 필요?

영유아 시기 눈 건강은 평생을 좌우한다. 시력은 어릴 때 집중적으로 발달한다. 그런데 사시·약시·굴절 이상 등으로 시각 자극이 충분하지 않으면 그 상태에서 시력발달이 멈춘다. 특히 아이는 불편함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해 시력 악화를 방치하기 쉽다. 최근엔 스마트폰 영상을 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시력 관리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사람의 시력은 태어난 다음부터 발달한다. 출생 직후 시력은 0.05에 불과하다. 보는 능력은 만 7~8세를 전후로 완성된다. 이 시기에 완성된 시력으로 평생을 살아간다. 특히 눈은 다른 신체부위와 달리 육안으로 발달상황을 확인하기 어렵고, 표현력이 떨어지는 아이는 눈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말하지 않아 빨리 알아채기 어렵다. 

문제는 시력이 완성된 이후에는 치료를 해도 시력회복이 어렵다는 점이다. 치료시기를 놓치면 입체·거리 감각이 떨어지거나 시력장애를 감당하고 살아가야 한다. 어릴 때부터 눈 건강검진이 필요한 이유다. 

물론 안과 검진이 있기는 하다. 생후 4~71개월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영유아 검진에도 시력과 관련해 검사를 진행한다. 한국실명예방재단 역시 가정용 시력검사도구를 활용해 시력을 점검한다. 하지만 이는 기본적인 시력검진이다. 시력발달 속도가 평균보다 늦다는 점 등을 세심하게 찾아내지 못한다. 전문가들은 1·3·6세 안과 전문검진을 권한다.

만 1세 때는 소아 시력검사와 사시검사가 필요하다. 따라보기, 주시하기 등으로 보는 능력을 평가하고, 백내장·망막질환·녹내장 등 중증 안과 질환이 선천적으로 있는지 등을 확인한다. 

의사소통이 가능한 만 3세에는 간단한 문진을 실시한다. 약시나 굴절이상 검사로 아이의 시력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자주 넘어지거나 다른 사람의 눈을 잘 마주치지 못한다면 약시일 수 있다. 

약시는 내사시로 이어지기 쉽다. 선명하게 보기 위해 힘을 주는 근육인 내직근이 눈동자를 안쪽으로 돌리면서 눈이 쏠린다. 시력교정 치료로 이 연결고리를 끊어야 한다. 가능한 빨리 시력교정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다행히 시력교정 치료의 효과는 어릴수록 좋다. 시력이 단계적으로 발달하는 시력민감기에 교정치료를 받아 효과적으로 시력을 개선한다. 대한안과학회가 어린이 약시 환자 222명을 대상으로 치료 시기에 따른 완치율을 분석한 연구가 있다. 만 4세 때 치료를 시작한 경우 완치율은 95%였지만 8세 때 치료를 시작한 경우 완치율이 23%에 불과했다. 

만 6세 때는 안경착용 필요성 등을 확인하고 간헐외사시 검사를 받는다. 증상이 간헐적으로 나타나 모르고 지나가기 쉽다. 아이가 고개를 한쪽으로 기울인다거나 자주 눈을 깜빡거리면 사시를 의심해야 한다. 정확한 검진으로 조기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건양의대 김안과병원 김용란 원장은 “스마트폰을 자주 본다며 막연히 눈 건강을 걱정하기 보다는 소아 안과 정밀검진으로 조기에 시력교정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