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기 고혈압, 방치하면 동반 질환 빨리 옵니다

인쇄

심혈관·뇌혈관 질환 발병 나이 30~40대로 앞당질 수 있어

식습관의 변화와 비만 아동의 증가로 소아·청소년기 고혈압 발병 빈도가 늘고 있다. 소아·청소년기 고혈압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어릴 적 혈압은 자라면서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방치하면 성인이 됐을 때 심장마비·심부전·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 조기에 발견해 관리하는 것이 최선이다.

전문가들은 소아·청소년의 3~13%가 고혈압인 것으로 추정한다. 운동 부족과 식습관의 변화, 학업 스트레스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소아·청소년 고혈압은 이차성과 본태성으로 나뉜다. 이차성 고혈압은 신장·내분비 질환 같은 원인 질환 탓에 혈압이 상승한다. 주로 13세 이전에 발생한다. 원인 질환을 치료하면 혈압 상승 문제도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주목할 것은 13세 이상 청소년에게서 나타나는 본태성 고혈압이다. 원인 질환 없이 고혈압이 발생한 경우다. 혈압은 성장 과정 중에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인다. 유년기 초기에 시작된 고혈압은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이 될 때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대사증후군이 조기에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고혈압 환자의 상당수는 당뇨병·고지혈증 같은 대사성 질환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소아·청소년기에 나타난 고혈압을 방치하면 동반 질환이 빨리 와서 심혈관·뇌혈관 질환 발병 나이도 30~40대로 앞당겨질 수 있다.

문제는 질환에 대한 인식도가 낮아 조기 진단이 어렵다는 점이다. 영유아 건강검진이나 학생 검진에서 고혈압 위험 소견이 나와도 무심코 넘기기 일쑤다. 3세 이상은 병원에 갈 때마다 혈압을 체크하고, 고혈압에 동반되기 쉬운 대사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선 초·중·고교 입학 전에 혈압과 함께 지질 검사를 하는 걸 권한다.

생활습관 개선 실패하면 약물치료
고혈압으로 진단되면 최우선 치료 전략은 생활습관 개선이다. 소아·청소년 고혈압의 위험 요인은 비만, 고염·고지방·고열량식을 선호하는 식습관, 운동 부족 등이다. 비만이라면 체중 조절을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체중의 10%만 감량해도 수축기 혈압 수치가 5~10㎜Hg이 떨어진다.

칼륨은 몸속에서 염분과 길항 작용을 해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평소 칼륨이 풍부한 채소·과일을 충분히 섭취하는 게 좋다.

운동은 혈압이 정상인 사람보다 고혈압 환자에게서 혈압 강하 효과가 더 크다. 청소년은 걷기·조깅 같은 유산소 운동을 매일 30분 이상 하는 게 도움이 된다. 이마저도 힘들다면 학원까지 걸어 다니기, 버스 한 정거장 전에 내려 걷기 등 일상에서 활동량을 늘리는 것도 방법이다.

생활습관 개선 노력을 3~6개월 해도 혈압 조절이 안 되면 약물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안지오텐신Ⅱ수용체 차단제(ARB), 칼슘 채널 차단제(CCB), 이뇨제 등의 고혈압약을 쓴다.

도움말: 을지대 을지병원 심장내과 박지영 교수, 강북삼성병원 소아청소년과 곽지희 교수
관련 기사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