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가 근시면 자녀 근시 위험 커진다

인쇄

삼성서울병원 임동희, 가톨릭대 의대 임현우 교수 공동 연구결과

부모 중 한 명이라도 근시일 때 자녀도 근시가 될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모두 근시면 이런 위험은 더 커졌다.
 

삼성서울병원 안과 임동희 교수, 가톨릭대 의대 예방의학과 임현우 교수 연구팀은 2008~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분석해 이 같이 밝혔다. 연구팀이 해당 기간 2344곳의 가정에서 5~18세 소아청소년 3862명과 부모의 시력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체 아이들 중 2495명(64.6%)이 근시였다. 마이너스(-) 0.5 디옵터(D) 이하 경도 근시는 1553명, -3.0D 이하 중등도 근시는 734명, -6.0D 이하 고도 고시는 208명이었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부모의 굴절 도수에 따라 자녀의 근시 유병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폈다. 부모의 근시가 자녀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보기 위해서다. 그 결과 부모가 모두 근시이거나 근시 정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근시 유병률이 증가하고 근시의 정도가 심했다.

부모 둘 다 근시가 없을 때(>-0.5 D) 자녀의 근시 비율은 57.4%으로 전체 평균(64.6%)을 밑돌았으나 부모가 근시일 때는 68.2%로 높았다. 부모가 시력이 가장 나쁜 고도 근시(-6.0D 이하)에 해당하면 자녀의 근시 비율은 87.5%로 껑충 뛰었다. 자녀의 근시 유병률비도 마찬가지였다. 부모 중 한 명만 -0.5D 이하라도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근시 유병률이 1.17배였다. 부모 모두 -0.5D 이하면 1.34배로 높아졌다.

특히 -6.0D 이하 고도 근시에서 이런 차이는 더욱 두드러졌다. 자녀에게서 고도 근시가 나타날 확률은 부모의 근시 정도에 따라 적게는 1.46배에서 많게는 11.41배까지 치솟았다. 이는 소아청소년의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나이, 성별, 비만도 등 다른 요인을 감안해 통계적으로 보정한 뒤 나온 결과다. 이로써 부모의 근시와 자녀의 근시 사이의 인과 관계가 확인된 셈이다.

연구진은 이런 결과가 나타난 데 대해 유전적·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연구진은 “부모의 근시가 자녀의 근시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그렇다고 예방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라며 “자녀의 시력 변화가 최소화할 수 있도록 어릴 때부터 전문의 검진과 함께 유해한 환경을 차단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 최근호에 게재됐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