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 항암제' 효과 없는 환자도 많아요, 맹신은 금물

인쇄

스스로 암 치료한다는 ‘면역 항암제’ 허와 실

스스로 암을 치료한다는 3세대 항암제인 면역항암제에 관심이 높다. 면역항암제는 우리 몸의 면역세포를 활성화해 암을 치료한다. 기존 항암제보다 부작용이 적고 생존율을 높여 암의 완치 가능 시대를 열 것이란 기대가 크다. 하지만 맹신은 금물이다. 면역항암제에 효과를 보지 못한 환자도 많다.

면역 항암제는 ‘면역관문억제제’를 말한다. 인체 면역세포인 T세포를 강화해 암세포를 스스로 공격해 파괴하도록 만든다. 암세포는 면역시스템에 걸리지 않고 계속 증식하기 위해 ‘PD-L1’이라는 회피 물질을 만들어낸다. 이 물질이 T세포의 수용체 ‘PD-1’과 결합하면 T세포는 암세포를 정상 세포로 착각해 공격하지 않게 된다. 이때 면역 항암제는 암세포의 PD-L1이 T세포의 PD-1과 결합하지 못하도록 먼저 결합한다. T세포와 결합하지 못한 암세포는 면역시스템에 의해 공격받아 치료가 이뤄진다.

1세대 화학 항암제는 세포독성 물질로 암세포를 공격해 사멸시킨다. 하지만 암세포뿐 아니라 주변의 정상 세포도 같이 공격해 손상을 입혀 부작용이 심했다. 2세대는 정상 세포를 공격하지 않기 위해 암세포의 특정 물질만 공격하는 표적항암제로 발전했다. 특정 물질만 공격해 부작용은 1세대에 비해 줄었지만 암세포가 면역이 생겨 재발하면 항암제가 듣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3세대 항암제는 이런 부작용이 거의 없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 항암제보다 독성과 내성의 문제가 적고 부작용도 적다


면역 치료제는 부작용이 적어 다른 치료법과 병용이 쉽다. 처음 개발될 당시에는 주로 이전에 항암치료를 여러 번 했던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투약됐다. 최근에는 조금 더 초반에 투약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면역치료를 항암치료 초반부터 사용하거나 제거 수술 이후 보조 요법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면역 항암제가 모든 암을 치료해줄 것으로 기대하지만 아직은 효과가 크지 않다. 종양마다 다르지만 면역관문억제제가 효과를 보는 확률이 악성 흑색종의 경우 40% 내외, 다른 종양은 10% 내외밖에 되지 않는다. 위암 4기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치료 성과가 좋은 환자들의 공통적인 생태지표를 발견했지만 아직 이 생태지표가 효과가 있다고 확신할 수는 없다. 아직은 치료 성과를 높이기 위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도움말: 강동경희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정아 교수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