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유방암, 항암치료에 난소기능억제 치료 더하면 재발↓

인쇄

국내외 참여 다기관 임상연구 결과. "새로운 치료 가이드라인 제시" 자평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에서 많은 폐경 전 젊은 유방암 환자에게 항암치료 후 추가로 2년간 난소기능억제 치료를 하는 것이 재발억제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국내외 다기관 임상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

한국유방암학회 노우철 이사장(원자력병원장)이 지난 4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젊은 유방암 환자의 재발 억제와 관련된 연구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원자력병원]

한국유방암학회 노우철 이사장(원자력병원장)은 지난 4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학회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ASCO)'에서 이와 관련한 연구 내용을 발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09년부터 8년간 국내의 34개 기관이 참여한 다기관 임상연구로 한국유방암학회 주관으로 시행됐다. 세계 유방암 연구의 최전선에 있는 ASCO에서 한국 의사가 한국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 결과를 구연발표한 것은 최초다.

연구팀은 폐경 전 유방암 환자 1483명을 대상으로 항암치료 후 타목시펜을 5년간 적용한 그룹과 타목시펜(5년간 사용)에 난소기능억제제(2년간 사용)를 동시에 적용한 그룹으로 구분해 5년 무병 생존율과 전체 생존율을 추적했다. 타목시펜은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로, 유방암 재발을 막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호르몬 억제제다. 난소기능억제제는 호르몬 생성 자체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분석결과, 타목시펜만 쓴 그룹과 타목시펜을 쓰고 난소기능을 억제한 그룹의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87.5%, 91.1%였다. 5년 전체 생존율도 타목시펜만 쓴 쪽은 97.8%, 타목시펜과 난소기능억제치료를 함께 진행한 쪽은 99.4%로 난소기능 비억제 그룹에 비해 생존율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노우철 이사장은 "폐경 전 유방암 환자 호르몬 치료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치료 패턴을 바꿀 수 있는 연구결과"라고 말했다.
관련 기사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