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수 기자] 입력 2024.08.22 15.09
지난해 9월 식중독 환자 수 가장 많아
덥고 습한 여름에는 세균 번식이 활발해 각종 질환에 쉽게 노출된다. 식중독도 그중 하나다. 식중독의 경우 통상 더위가 극에 달하는 7~8월만 주의하면 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9월까지도 방심해서는 안 된다. 식중독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실제 2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발표한 '2023년 식중독 발생 현황'을 보면 지난해 9월에 식중독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이 시기에 집계된 환자는 총 1590명으로 7월 1563명, 8월 977명보다도 많았다. 식약처는 "폭염이 이어지는 7·8월에는 음식 보관에 유의하는 반면 9월에는 아침저녁으로 선선해져 상온에 식품을 두는 등 부주의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9월 식중독이 발생할 만큼 한낮 기온이 오른다는 점이다. 특히 유의해야 하는 식중독균의 원인 병원체는 노로바이러스와 살모넬라, 병원성 대장균이다.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은 통상 오염된 생굴 또는 지하수를 섭취했을 때 발생한다. 감염된 환자의 분변이나 구토물, 오염된 손 등 사람 간 접촉으로도 전파될 수 있어 익혀 먹기뿐 아니라 개인위생 관리에도 신경 써야 한다.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