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초점 백내장 수술, 핵심은 개인 생활 패턴까지 고려한 인공수정체 결정

[이종호 원장] 입력 2023.09.12 08.34

[서울밝은세상안과가 알려주는 눈 건강의 모든 것] 이종호 대표원장

Q. 백내장 인공수정체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A. 백내장 수술에 필요한 인공수정체는 다양합니다. 모두 비슷해 보이지만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한가지 거리에만 초점을 맺는 ‘단초점 인공수정체’와 여러 거리에 초점을 맺는 ‘다초점 인공수정체’입니다. 


단초점은 인공수정체의 광학부가 매끈합니다. 먼 거리와 가까운 거리 중 초점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한가지 거리에만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비교적 눈부심이 적고 선명한 게 장점입니다. 다만 이외의 거리는 안경을 착용해야 합니다.

다초점은 여러 동심원이 있어 빛의 굴절력을 달리해 초점을 맺습니다. 초점을 여러 개 맺을 수 있게 설계된 렌즈로 추후 안경 착용이 필요 없습니다.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종류가 다양한데요. 가장 먼저 등장한 것은 2중 초점 렌즈입니다. 원거리 초점을 맺으면서 약 40cm 정도의 근거리 초점을 맺을 수 있습니다. 이후에 등장한 건 중간 거리 초점을 맺는 3중 초점 인공수정체입니다. 원거리와 근거리는 확보하면서 약 80~100cm 중간거리에 초점을 맺을 수 있도록 합니다. 

최근에는 4중 초점 인공수정체도 개발됐습니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전자기기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실질적으로 3중 초점 인공수정체를 통해선 부족한 면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4중 초점 인공수정체는 원거리, 근거리, 중간거리는 물론, PC와 핸드폰을 자주 사용하는 60cm 거리가 잘 보일 수 있도록 만들어진 렌즈입니다. 인공수정체의 초점 거리가 점점 다양해지면서 인공수정체의 종류도 세분화되고 있습니다. 
 
Q. 백내장 수술 시 다초점 인공수정체 종류를 선택하는 기준이 궁금해요. 

A.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백내장 수술을 비롯해 노안과 근시, 난시 등을 함께 개선할 수 있는 방안입니다. 이에 따라 수요가 점차 늘고 있습니다. 다양한 다초점 인공수정체 중 개인에게 적합한 종류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특히 최근에 등장한 4중 초점 인공수정체는 안경 없는 일상생활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고 있는데요. 모든 사람들에게 4중 초점 인공수정체가 적합한 것은 아닙니다. 개인의 생활이나 직업, 취미 등에 따라 렌즈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3중 초점 인공수정체가 유리한 경우는 책이나 악보를 자주 봐야할 때, 글을 많이 써야 할 때 등입니다. 근거리 작업을 자주 해야 하는 경우라면 초점 거리가 다양한 4중 초점 인공수정체나 근거리에 더 최적화된 렌즈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야간운전을 많이 하는 경우 다초점보다 야간 빛 번짐이 덜 한 단초점 인공수정체가 권장됩니다.


인공수정체는 종류에 따라 장점과 특징이 모두 다릅니다. 따라서 인공수정체를 선택할 땐 개인의 눈 상태를 바탕으로 생활 패턴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의료진을 통해 정밀 검사와 상담을 거쳐 종류를 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Q.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나요.

A.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부적합한 사람이 사용할 경우 시력에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망막 상태가 나쁘거나 망막 이상 질환을 가진 경우 빛을 나눠서 사용하는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망막은 빛이 수정체를 거쳐 상을 맺고 사물을 볼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망막의 기능이 떨어지면 아무리 좋은 인공수정체로 백내장 수술을 했더라도 시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백내장은 중장년층의 대표 안 질환으로 대부분 50대 이후에 진행해 당뇨와 같은 기저 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당뇨가 있을 땐 합병증인 당뇨막막병증을 동반할 수 있어 유의해야 합니다. 백내장 수술 전 검사에서 망막 질환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또 녹내장으로 시력 이상이 있거나 황반변성이 있는 경우에도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피해야 합니다. 이미 안 질환으로 시력 이상이 있는데 다초점 백내장 수술을 하면 좋은 수술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단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했을 때보다도 더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Q. 단초점에서 다초점 인공수정체로 교체할 수도 있나요.

A. 교체가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다만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면 안구 내부 주변 조직과 수정체낭이 유착되기 때문에 교체 가능 여부를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유착이 심하지 않다면 기존 인공수정체를 교체할 수 있어요. 수술 후 시간이 많이 지난 경우엔 교체가 힘들 수 있습니다. 

후발 백내장 치료를 위한 레이저 진행 여부도 파악해야 합니다. 백내장수술 후 수정체낭에는 기존 상피세포가 붙어 있는데요. 시간이 지나면 세포가 분열하고 이동, 증식하면서 수정체 후낭에 모여 혼탁을 유발합니다. 백내장 수술을 진행한 환자 모두에게 나타나지만, 발생 시기의 차이는 있습니다. 

후발 백내장이 발생하면 야그레이저로 혼탁해진 후낭을 파열합니다. 한번 파열된 후낭은 다시 재생되지 않으므로 재수술은 필요 없지만 인공수정체를 교체하긴 어렵습니다. 단초점에서 다초점 인공수정체로 교체를 원한다면 수정체낭의 유착 여부, 후발 백내장 치료 여부 등 정밀한 검사를 통해 교체 가능성을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