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선미 기자] 입력 2023.05.26 08.57
월경 끝나도 계속 아프다면 자궁·난소 문제일 수도
월경(생리)은 여성 건강의 바로미터다. 여행·스트레스·감기 몸살·다이어트 등 사소한 변화에도 예민하게 반응한다. 몸 상태가 나빠지면 일정해야 할 생리주기가 들쭉날쭉하고 통증도 심해진다. 가임기 여성은 평생 폐경에 이를 때까지 평균 500회 이상 월경을 한다. 주기적으로 겪는 하복부 통증인 월경통(생리통)을 무시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다. 대략 5일 정도 지속되는 월경통은 28일 간격으로 돌아온다. 세계 월경의 날(5월 28일)을 계기로 이대서울병원 산부인과 박소연 교수에게 여성이 겪는 월경통에 대해 짚어봤다.
권선미 기자 kwon.sunmi@joongang.co.kr
가임기 여성의 80%는 월경통을 경험한다. 월경통은 크게 월경주기에 따라 반복하는 1차성과 자궁·난소 등 여성질환에서 비롯되는 통증인 2차성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월경통은 두꺼워진 자궁 내막이 허물어지는 과정에서 통증 유발 물질(프로스타글란딘)이 만들어지면서 생긴다.
월경 직전부터 아랫배가 쥐어짜듯 아프다가 서서히 나아진다. 대개 월경을 막 시작한 사춘기 무렵에 가장 심했다가 출산 이후 조금씩 완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가장 보편적인 해결책은 진통제 복용이다. 프로스타글란딘의 분비를 억제해 통증을 줄여준다. 피임약도 생리주기나 호르몬 변화를 완화해 통증의 강도를 줄여준다. 박소연 교수는 “진통제로도 월경통이 심하다면 복합 경구피임약 또는 자궁 내 장치가 도움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