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부터 노화하는 이곳, 걷기·뛰기·수영이 효과

[이민영 기자] 입력 2020.12.08 10.15

추간판은 18세부터 노화, 등 근육 단련해야 척추 건강

척추질환은 대부분 노화가 원인이다. 나이가 들면 누구나 예외 없이 퇴행성 척추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흔히 디스크라고 부르는 ‘추간판’은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에 존재하는, 단백질과 섬유질로 만들어진 조직이다.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한다. 추간판은 18세가 되면 노화가 시작된다. 인천성모병원 신경외과 신명훈 교수는 “나이가 들면 피부 수분이 빠져 얼굴에 주름이 생기는 것처럼, 추간판도 수분이 빠지고 탄력을 잃는다. 그렇게 되면 충격 흡수가 잘되지 않고, 체중을 받치지 못하고 무너지는 퇴행성 척추변형이 일어난다”고 말했다.

퇴행성 척추변형의 치료는 모든 척추질환을 각각의 질환이 아닌, 하나의 범주에서 바라보고 접근하는 데서 출발한다. 신명훈 교수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척추질환은 요추간판탈출증, 척추관협착증 등으로 분류해 치료했다. 하지만 증상이 일시적으로 좋아지고 재발하는 등 예후가 좋지 않았다”며 “최근 퇴행성 척추변형의 범주에 모든 척추질환을 포함해 ‘몸의 기둥인 척추를 다시 세워야 한다’는 명제에 주목하고 있다”고 했다.

퇴행성 척추변형의 치료방법은 다양하다. 크게 비수술 치료와 수술 치료로 나눈다. X선이나 MRI(자기공명영상) 등 영상 검사에서 퇴행성 척추변형 질환으로 판명되면 진행 정도에 따라 치료법을 결정한다. 대표적인 비수술 치료는 신경차단술과 신경성형술이다. 신경차단술은 척추 중심 신경에서 빠져나온 신경 뿌리 중 통증을 일으키는 신경 뿌리를 정확히 찾아 주사로 약물을 주입해 통증을 완화한다. 신경성형술은 척추의 꼬리뼈 부분을 국소마취한 후 중추신경과 신경 가지에 생긴 염증 유발 물질과의 유착을 제거하고 약재를 주입하는 시술이다.

이들 치료로 뚜렷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증상이 악화하면 수술을 한다. 신명훈 교수는 “수술은 과거에는 뼈를 깎아내는 절골술을 많이 했지만 일부 고령자는 뼈 자체의 출혈량이 많아 과다출혈로 합병증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며 “최근에는 최소침습수술이 많이 발전했다. 가장 많이 시행하는 수술은 허리를 구조적으로 잡아주는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수술이다”고 설명했다. 덧붙여 “퇴행성 척추변형 수술인 최소침습수술에 현미경 수술을 접목하면 합병증을 줄이면서 더 높은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했다.

퇴행성 척추변형을 예방하려면 평소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한다. 걷기, 뛰기, 수영 등 유산소운동은 필수다. 이때 근력 운동을 병행해 근육을 늘려주면 좋은데 ‘스쿼트’가 도움이 된다. 단 규칙적으로 꾸준히 해야 효과가 있고 잘못된 방법으로 하면 무릎에 부담이 될 수 있는 만큼 주의한다. 근육 총량을 늘리려면 하루 20회씩 5세트를 실천한다. 고령자는 유산소운동을 하는데, 산책 수준이 아니라 숨이 조금 찰 정도의 속도로 걸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신명훈 교수는 “척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특히 등 근육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며 “보통 남에게 보이는 복근 같은 신체 앞부분의 근육운동보다는 등 뒤 근육인 신전근과 기립근을 키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