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다리 자주 붓는 림프부종, 놔두면 난치성 질환

[우경제 교수] 입력 2018.10.22 08.58

[전문의 칼럼] 이대목동병원 성형외과 우경제 교수

오랜 시간 서 있다 보면 다리가 붓는 것을 경험한다. 그러나 유난히 한쪽이 많이 붓고 부기가 쉽게 빠지지 않는 경우 팔이나 다리의 림프순환에 장애가 생겨 림프액이 정체돼 발생하는 ‘림프부종’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제2의 혈관’이라고도 불리는 림프계는 혈관처럼 온몸에 퍼져 있는 체액 흐름의 연결망인데, 우리 몸의 노폐물과 단백질을 운반하며 체액의 순환을 돕고 면역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림프액은 손과 발의 끝에서 몸통을 향해 흐르는데 림프관을 통해 흐르다 겨드랑이와 사타구니에 있는 림프절에 모여 몸통으로 들어가며 혈액과 합쳐진다. 림프관이 ‘고속도로’라고 하면 림프절은 ‘톨게이트’라 할 수 있다. 
  
유방암이나 자궁경부암 등 악성 종양이 있는 경우에도 암세포가 림프액을 따라 이동하다 림프절에서 암세포의 전이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암 절제 수술을 하는 경우 이 림프절을 함께 절제한다.
  
이런 경우 팔이나 다리의 림프액이 빠져나가는 통로가 없어져 림프액의 순환에 문제가 생기고 림프액이 팔다리에 정체돼 림프부종이 발생한다. 이외에도 림프부종의 위험 인자는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는 경우, 비만인 경우 등이 있다. 
  
 하지만 아무 이유 없이 발생하는 일차성 림프부종도 있어서 부종이 발생하고 빠지지 않는다면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부종 발생 초기에는 팔다리를 올리고 있거나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면 부기가 빠진다. 따라서 초기에 압박 치료, 마사지, 운동 등을 포함한 재활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재활치료에도 호전이 없어 방치하면 림프부종이 심해진다. 
  
압박 치료를 해도 효과가 없는 2기와 피부까지 딱딱해지고 피하지방이 두꺼워져 팔과 다리가 두껍게 변하는 3기로 점차 진행하는데, 점차 림프관이 좁아지고 완전히 막혀서 없어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팔이나 다리 전체에 봉와직염이 종종 발생하며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하지 않으면 전신 패혈증으로까지 진행될 수 있다. 이처럼 림프부종은 단순히 팔다리가 붓는 것이 아니라 만성적으로 점차 악화하는 난치성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림프부종도 초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경우 치료 효과가 좋고 완치까지 가능하다. 림프부종은 림프계의 문제 외에 혈관 질환, 종양 등의 원인을 살피고 다른 원인이 없다면 림프부종을 의심해 검사를 진행한다. 
  
림프관은 대부분 직경이 0.8㎜ 미만으로 가늘고 투명하기 때문에 관찰이 어렵지만 특수 카메라를 이용하면 림프액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고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림프관 촬영술’을 통한 기능 평가 후 림프관 기능이 남아 있으면 ‘림프관-정맥 문합술’로 림프액이 빠지는 길을 만들어줄 수 있다. 이 수술로도 호전이 없거나 림프관 기능이 많이 떨어졌다면 림프절 이식술을 시행할 수 있다. 
  
림프부종 또한 진단 기술과 수술의 발전으로 조기 진단은 물론 병기 평가와 이에 따른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졌다.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