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에 혈압 안 떨어지면 '이것' 체크하세요

[박정렬 기자] 입력 2018.01.30 14.44

고혈압에 타격받는 콩팥 건강…비만·흡연자는 더욱 주의

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자'라고 불린다. 한국인 사망원인 2·3위인 심장·뇌혈관질환의 위험인자다. 하지만 고혈압 진단을 받아도 대부분은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특별한 증상이 없는데다, 뚜렷한 치료 없이 약물이나 식생활 습관 조절을 권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그러나 고혈압은 그 자체가 숨은 건강 위협을 알리는 '신호'가 될 수 있다. 경희대병원 신장내과 임천규 교수는 “원인 모르는 고혈압(일차성 고혈압)은 특히 콩팥과 관련이 깊다”며 “대부분의 콩팥병 환자는 고혈압과 함께 심장과 동맥의 합병증을 앓고 있으며, 혈압이 높은 환자일수록 말기 콩팥병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다”고 말했다. 콩팥과 고혈압, 어떤 관계일까?

고혈압-콩팥병 서로 악영향 미쳐
콩팥은 몸에 쌓인 노폐물을 배설하고 체내 수분과 소금의 평형을 조절한다.  혈관의 수축·이완을 돕는 호르몬도 생산한다. 콩팥이 고장 나면 소금이 몸 안에 축적돼 체액량이 늘고, 동맥이 수축되며 고혈압이 발생한다. 즉, 콩팥 상태에 따라 혈압 예민성이 정해지는 것이다. 고혈압으로 콩팥 기능을 완전히 잃으면 정상적인 콩팥을 이식받아야 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임천규 교수는 “콩팥 기능저하는 고혈압을 유발하는 동시에 고혈압은 콩팥병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실과 바늘처럼 뗄 수 없는 관계”라며 “특히 비만하거나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정기적인 혈압 측정이 필수"라고 말했다.

이어 임 교수는 “고혈압이 심해지거나 혈압약이 잘 반응하지 않을 때, 밤에 혈압이 낮아지지 않을 때는 콩팥 검사가 더욱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경희대병원 신장내과 임천규 교수 [사진 경희대병원]

만성 콩팥병 환자는 칼륨 섭취 피해야
혈압 조절 목표치는 140/90 mmHg 미만이다. 콩팥병이나 당뇨병 환자는 이 기준이 130/80 mmHg 미만으로 강화되고, 단백뇨가 심할 때는 125/75 mmHg 미만으로 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관리하는 게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국물이 있는 음식을 피하고 되도록 싱겁게 간을 하는 등 소급섭취량을 줄여야 한다. 금연과 운동, 스트레스 관리도 중요하다. 이런 생활 습관 관리만 해도 혈압을 10~20mmHg 정도 줄일 수 있다.

콩팥 기능이 떨어진 경우가 아니라면 칼륨이 풍부한 채소·등푸른 생선을 먹는 것이 도움이 된다. 칼륨은 나트륨의 체외 배설을 도와 혈압을 조절한다. 반면 만성 콩팥병 환자는 칼륨 배설 능력이 줄어 이런 음식을 과도하게 먹을 경우 근육쇠약·부정맥·심장마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경희대병원 임천규 교수는 "콩팥병·당뇨병 환자는 2개 이상의 혈압약을 투여 받아야 한다. 이 때는 혈압 조절 이외에 콩팥 보호 효과가 우수한 혈압강하제를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